'최약체' 원화의 굴욕…인도 루피·태국 밧보다 가치 더 떨어져

황정환 2023. 8. 13. 18: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화가 또다시 휘청이고 있다.

올 상반기 기준금리 인상 종료 기대에 지난달 18일 1260원 선까지 하락한 원·달러 환율이 한 달도 안 돼 1320원대를 돌파하면서다.

1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로 한 단계 낮춘 뒤 10일 만에 원화 가치는 미 달러화 대비 3.4% 급락했다.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회사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채무 이행 실패로 위안화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원화 환율에도 영향을 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동네북' 된 원화
美 신용강등 후 3% 넘게 하락
인니·베트남 통화가치 하락 0%대
韓, 약달러일 땐 덩달아 떨어지고
강달러일 땐 다른 나라보다 급락
수출 부진·한미 금리차 최대
경제 기초체력 약해 쉽게 휘청
외국인 관광객이 13일 서울 명동 환전소에 걸려 있는 환율 전광판을 보고 있다.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하락, 중국의 경기 둔화 등 대외 악재로 지난주 말 원·달러 환율은 1324원대로 올라섰다. 김병언 기자


원화가 또다시 휘청이고 있다. 올 상반기 기준금리 인상 종료 기대에 지난달 18일 1260원 선까지 하락한 원·달러 환율이 한 달도 안 돼 1320원대를 돌파하면서다. 특히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 중국의 경기 둔화와 부동산 위기 등 대외 악재가 터질 때마다 정작 달러나 위안화 또는 다른 통화보다 원화 가치가 유독 더 빠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美 신용등급 하락에 나홀로 급등

지난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8원90전 오른 1324원90전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 5월 31일(1327원20전) 후 두 달여 만의 최고치다. 작년 9~10월 1400원대를 넘나들던 때와 비교할 정도는 아니지만 미국의 통화긴축 종료 기대로 환율이 하향 안정되던 흐름이 뒤바뀐 것이다.

특히 원화는 다른 나라 통화에 비해 대외 변수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게 문제다. 1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로 한 단계 낮춘 뒤 10일 만에 원화 가치는 미 달러화 대비 3.4% 급락했다.

유로화, 영국 파운드화, 일본 엔화 등 주요국 통화는 물론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신흥국 통화도 달러 대비 0~1%대 하락하는 데 그친 것과 비교해 원화가 유독 약세를 보였다. 게다가 정작 미 달러화는 유로, 캐나다달러, 엔, 파운드, 스위스프랑, 스웨덴 크로네 등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0.5% 올랐다. 신용등급이 강등된 건 미국인데 달러화는 오히려 강세를 보이고, 원화는 달러화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하는 역설적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정상적이라면 신용등급이 떨어진 국가에서 자본이 유출돼야 하지만 오히려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달러 표시 자산 수요가 커지며 환율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7월 한국 주식을 6410억원어치 순매수한 외국인은 환율 상승 여파로 이달 2~11일까지 375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한국 시장과 원화가 여전히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위험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의미다.

원화는 지난 3~4월 미국의 금리 인상 종료 기대로 달러가 약세로 돌아섰을 때도 ‘나홀로 약세’를 기록했다. 당시 달러 가치가 주요국 통화 대비 2.7% 하락할 때 원화 가치는 달러화 대비 1.5% 떨어졌다.

 취약한 펀더멘털에 대외 민감도 커

중국이 ‘기침’하면 한국이 ‘독감’을 앓는 현상도 재연됐다. 8일 중국 정부는 7월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4.5% 줄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2월 이후 41개월 만의 최대 하락폭이다.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회사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채무 이행 실패로 위안화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원화 환율에도 영향을 줬다. 지난 8일 달러당 7.1365위안이었던 위안화 고시환율은 11일엔 7.1587위안으로 0.3% 상승(위안화 가치는 하락)했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위험 회피 분위기가 조성될 때마다 원화가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취약해진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근본 원인이라고 분석한다. 지난달까지 수출은 10개월 연속 감소했다. 올 들어 무역수지 적자도 278억달러에 달한다. 역대 최대로 벌어진 한·미 금리 차도 환율 상승 압력을 높이고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와 경기 침체 우려 때문에 한국은행은 금리 인상에 나서기 힘든 게 현실”이라며 “원화 약세 압력은 점점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