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소원은 통일? 언제적 얘기.. 2명 중 1명 "왕래 가능한 정도면 충분"
2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 결과 공개
자유왕래 가능 2국가 체제 > 단일국가
워싱턴 선언 “대북 억지력 강화 역할”
통일에 대한 영향력 수준 “미국>중국”
국민의 절반 정도가 ‘통일’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자유 왕래가 가능한 2국가 체제를 선호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통일에 대한 달라진 국민 인식을 드러냈습니다.
단일국가 체제로 살기를 원하는 경우는 10명 중 3명이 채 안됐습니다.
북한에 대한 적대·경계적인 인식은 확대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3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가 공개한 2분기 통일여론동향에 따르면 73.7%의 응답자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자 비율은 25.0%로 4명 중 1명꼴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 남성(76.8%)이 여성(70.7%)에 비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컸습니다.
연령별로 통일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50대(81.4%)가 가장 높았고 30대(61.9%)에서 낮았습니다.
통일이 ‘불필요’하다는 인식은 30대 여성(39.8%)으로 직전 분기 대비 10.7%포인트(p) 올랐습니다
응답자의 52.0%는 남북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한 2국가’ 체제를 택했습니다.
‘단일국가’ 통일 모델은 그 절반을 조금 넘는 28.5%, ‘1국가 2체제’와 ‘현재와 같은 2국가’는 각각 9.8%와 7.9%를 차지했습니다.
민주평통은 분기마다 현안·추이 분석 문항으로 구성된 통일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민주평통자문위원 조사 결과와 비교·분석하고 있습니다.
정기 통일여론조사에선 이와 유사한 형태 질문이 2021년 3분기부터 도입됐습니다.
지난 1분기까지 응답 비율이 ‘유럽연합처럼 경제교류협력이 자유로운 상태’(33.6~40.1%), ‘동서독처럼 통일된 상태’(33.2~38.8%), ‘미국과 캐나다처럼 좋은 이웃 상태’(23.8~25.7%) 순이었습니다.
지난 1분기 조사에선 ‘독일형’(38.8%), ‘EU형’(33.6%). ‘미국·캐나다형’(24.6%) 순으로 1, 2위가 바뀌었던게 이번 2분기 조사에서 답변 형태를 국가·체제 수 기준으로 변형하자 ‘2국가 체제’에 대한 선호도가 더 뚜렷해진 것으로 보입니다.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선 73.4%(매우 필요 38.4%, 어느 정도 필요 35.4%)가 동의했고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5.4%로 나타났습니다.
통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경제 발전’(30.9%) 때문이 가장 많았고 이어 ‘전쟁 위협의 해소’(25.8%) , ‘민족의 동질성 회복’(17.8%), ‘국제적 위상 강화’(12.4%), ‘자유와 인권 실현’(11.2%) 순으로 꼽았습니다.
북한에 대한 경계 수위는 높아졌습니다. 북한을 적대·경계 대상으로 보는 국민이 42.1%로, 협력·지원 대상으로 인식(47.1%)하는 경우보다는 적었지만, 2017년 4분기(42.5%) 이후 처음 4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4월 한미정상회담에서 나온 워싱턴 선언이 대북 억지력을 강화했다는 응답 비율이 47.1%로, 약화했다는 응답(36.0%)보다 약간 높았습니다.
53.2%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합의한 한미일 전략 공조 강화가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부정(39.5%)을 앞질렀습니다.
통일에 대한 영향력을 주는 국가를 묻는 질문엔 미국(53.9%)이 중국(35.7%)보다 18.2%포인트(p) 높게 나타났습니다.
다만 2018년 1분기 이후 중국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전 분기(30.6%) 대비 5.1%p 증가했습니다.
북한 인권상황에 대해선 응답자 상당수(88.0%)가 ‘심각하다’고 인식했습니다.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우선 추진 과제로는 ‘남북 대화를 통한 개선 촉구’(32.8%)가 ‘국제사회 공조를 통한 압박’(27.1%)보다 다소 많았습니다.
조사는 지난 6월 9~11일 전국(서울~제주)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 방식(휴대전화 80%)으로 진행됐습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p)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