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학 학자금 빚 상환 재개 여파···“청년층, 주식·코인 시장 떠날 것”
미국 연방대법원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추진해온 학자금 대출 탕감 정책을 무효화하면서 학자금 상환에 부담을 느낀 미국 청년층이 주식, 가상자산 시장을 떠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그동안 유예 상태였던 학자금 대출 상환이 오는 10월부터 재개되면서 이에 경제적 부담을 느낀 청년층이 주식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에서 떠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 2020~2021년 사이 미국 청년들은 주식과 가상자산 투자에 대거 뛰어들었지만 이들 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고물가, 고금리로 인해 경제 상황마저 악화되자 안전한 투자처로 발걸음을 돌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금융산업규제위원회(FIRA)와 CFA 연구소(CFA Institute) 조사에 따르면 미국 Z세대(18~25세)는 주식 시장에서 펀드보다는 개별 기업 주식과 가상자산 투자를 선호해왔다. Z세대의 56%는 1개 이상의 금융 상품에 투자하고 있고 이들의 평균 투자 금액은 4000달러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든 정부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로 일부 지역 봉쇄 및 경제 활동 중단으로 미국인들이 재정난에 직면하자 대학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유예 조치했다. 지난해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는 최대 4300만명 대상으로 1인당 최고 2만달러까지 학자금 대출을 탕감하는 내용의 정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연방대법원은 지난 6월 이 정책을 ‘행정부의 월권’이라며 정부 패소 판결을 내렸다. 당시 이 정책을 두고 일각에서는 세금을 낭비해 지역 공공 서비스 품질을 낮추고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학자금 대출 탕감 시 미국 정부가 부담할 비용이 약 4000억달러에 달한다고 추산한 바 있다.
이날 WSJ는 “학자금 대출금의 반환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많은 사람들의 월간 현금 흐름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학자금 상환 재개로 미국의 한 가정당 가용 자산이 월 평균 180달러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권정혁 기자 kjh0516@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준표 “명태균 만난 일, 통화한 일 없다” 했지만…음성파일·동석 사진 나왔다
- 대구 ‘수성못’에 들어선 9억원 짜리 화장실···‘부글부글’
- 이재명, ‘비명횡사’ 박용진 만나 “가슴 아플 것 알아…큰 역할 해달라”
- 경찰, ‘고양 음식점 살인’ 사망자 옆 쓰러져 있던 여성 용의자로 특정
- 고려대 무전공 36명 모집에 733명 추가 합격…‘유형1’ 선발엔 무슨 일이
- 윤석열 “김건희-조태용 주고받은 문자, 나도 내용 궁금”
- 차에서 숨진 채 발견된 영주시 6급 공무원…“직장 내 괴롭힘 인정”
- 홍준표 ‘명태균 휴대폰에 카톡 대화’ 의혹에 재차 반박…“가짜 변호사 난무” 주장
- 한동훈이 밝힌 경력에서 ‘검사’ 뺀 이유 “법무장관 했으니까, 조선제일검 소문 있었고”
- 제1공수여단장 “대통령이 국회의원 끄집어내라 지시했다고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