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친노동 정책에… 5년새 노조원 80만명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5년간 국내 노동조합 조합원 수가 80만명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이사장은 "조합원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은 '촛불혁명'(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요구한 시민운동) 이후 변화된 사회 분위기, 문재인 정부의 친노동 정책, 양대 노총(한국노총·민주노총)의 조직 확대 경쟁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0대이상 비중도 26% → 32%
최근 5년간 국내 노동조합 조합원 수가 80만명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의 친노동 정책 등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이 13일 작성한 '한국의 노동조합 조직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조 조합원 수는 문재인 정부 출범 전년도인 2016년 211만명에서 5년 뒤인 2021년 293만명으로 82만명 늘었다.
김 이사장은 "조합원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은 '촛불혁명'(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요구한 시민운동) 이후 변화된 사회 분위기, 문재인 정부의 친노동 정책, 양대 노총(한국노총·민주노총)의 조직 확대 경쟁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고용노동부 자료를 토대로 지난 60년간 노조 조합원 추이를 크게 6단계로 구분했다. 제1기(1963∼1979년)에는 산업 발달로 22만명에서 109만명으로 꾸준히 늘었으나 제2기(1980∼1986년)에는 정부에 의해 산별 노조 지역지부가 강제 해산되고 기업별 노조 체제가 강요되면서 산업 발달에도 조합원 수는 다소 줄었다.
제3기(1987∼1989년)에는 1987년 노동자 투쟁으로 노조 운동이 활성화되자 조합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1986년 104만명이던 조합원 수는 1987년 127만명, 1988년 171만명, 1989년 193만명으로 불과 3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었다. 제4기(1990∼1998년)에는 외환위기 등 사회·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조합원 수가 감소했고, 제5기(1999∼2016년)에는 완만하게 증가했다. 고용부 기준 조합원 수는 2016년 197만명에서 문재인 정부와 겹치는 제6기(2017∼2021년)에 가파르게 늘어 2021년 293만명을 기록했다. 김 이사장은 집계 대상이 아니던 14만명 규모의 법외 노조가 대법원 판결로 2021년부터 집계 대상에 포함된 점을 고려하면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2016년 조합원 수를 14만명 추가한 211만명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제6기에는 모든 연령층에서 노조 조합원 수가 늘고 조직률이 높아졌으나 특히, 전체 조합원 중 50대 이상 비중은 2016년 26.3%에서 2021년 31.8%로 높아졌다.
현재 고용부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난해 조합원 수를 집계 중이며 올해 연말 공개할 예정이다. 김 이사장은 "문재인 정부 시기 증가세가 윤석열 정부에서도 이어질 것인지 주목된다"고 말했다.정석준기자 mp1256@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멋진 인생 살라"…군인 밥값 20만원 몰래 계산한 중년 남성
- 후임병 헤드록 걸고 머리카락 불태운 20대 해병대…벌금 500만원
- 머스크·저커버그 현피 콜로세움서?…그라임스 "애들 아빠, 참아요"
- "트림·방귀 줄일게요"…`착한 송아지` 내년봄 태어난다
- 새벽에 양손에 흉기 들고…파출소서 난동 부린 상습 주취범
- 트럼프 `관세전쟁`에…韓기업, 대체시장 찾고 생산거점 옮긴다
- SK 최태원 “AI·에너지서 한미일 시너지…3국협력 선택 아닌 필수”
- AI·통신 혁신기술 들고 MWC 가는 통신3사…글로벌 네트워크 다진다
- 누구는 매주, 누구는 6년…`질서없는` 가상자산 `에어드랍`
- 이재명 `중도보수론`에 지속되는 비명계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