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의 터줏대감 세 사람, 한 명이 감쪽같이 사라졌다...이유는 놀랍게도 [추동훈의 흥부전]

추동훈 기자(chu.donghun@mk.co.kr) 2023. 8. 12. 11: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흥부전-18][브랜드로 남은 창업자들-13] 찰스 다우

지난 7월 말 뉴욕증시에는 또 한 번의 역사가 쓰여질뻔 했습니다. 미국의 3대 지수 중 하나인 다우 지수의 연속 상승 마감 기록이 126년만에 경신될 뻔한 것인데요. 13일 연속 상승 마감했던 다우지수가 14일째이던 7월 27일 아쉽게 하락 마감했습니다. 13일 연속 상승 마감 역시 1987년 이후 36년만의 대기록이긴 하지만 하루만 더 상승했다면 무려 1897년 6월에 세운 기록과 동률을 세울 뻔 했던 것입니다.

다우 존스
사실 줄여서 다우 지수라고 많이 불리긴 하지만 해당 지수의 정확한 이름은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Index)’입니다. 미국 주요 500대 기업을 총망라한 ‘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와 더불어 미국을 대표하는 지수로 불리고 있습니다. 국내서 증시 마감후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의 변동성을 살펴보듯 미국 증시를 정리할 땐 3대 지수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우 지수엔 재미있는 특징들이 몇 개 있습니다. 먼저 1957년 출시된 S&P500과 1971년 출시된 나스닥과 달리 다우 지수는 1896년 설립돼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합니다. 7월에 쓰일뻔한 기록 역시 뼈대있는 다우 지수였기에 가능한 것이었죠. 또 500개 기업을 추종하는 S&P500과 달리 딱 30개 기업의 산술평균 주가를 추종합니다.

그렇다 보니 오히려 각 기업들의 상징성은 크지만 모수가 적은 만큼 전체 기업들과 산업 분위기를 잘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죠. 또한 시가총액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주가의 평균값을 지수화한 것이다 보니 기업 가치를 온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흥부전에 소개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죠. 바로 창업자의 이름을 딴 지수입니다.

다우 존스 지수인 만큼 당연히 다우 존스가 창업자의 이름으로 추정되겠지요? 그런데 이번에도 한명이 아닌 두 명입니다. 공동 창업자의 이름이 들어간 사례, 저희 흥부전에도 여러 차례 선보인바 있습니다. 부부나 부자 또는 형제 등이 함께 창업한 하리보, 맥도날드 등이 대표적이고요. 배스킨과 라빈스라는 혈육관계가 아닌 공동창업자의 이름이 들어간 브랜드도 있었죠. 이번에도 다우와 존스. 즉 2명의 창업자가 등장합니다.

그런데 또 하나의 반전! 다우 존스 지수를 운영하고 있는 다우존스앤컴퍼니의 창립자는 총 3명입니다. 찰스 헨리 다우와 에드워드 존스, 그리고 지수에 이름이 없는 찰스 버그스트레서가 그 주인공이죠.

다우 존스 지수는 세 명의 창업자중 찰스 다우와 에드워드 존스의 성이 합쳐진 것입니다. 이들은 공교롭게도 모두 언론인 출신입니다. 또한 다우 존스 지수를 만든 것 뿐 아니라 현재 전 세계를 대표하는 경제 미디어 월스트리트저널의 창업자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이들은 월스트리트저널과 다우존스 지수를 만들게 된 것일까요.

찰스 다우
중심 인물은 바로 찰스 다우입니다. 1851년 미국 코네티컷 주 스털링에서 태어난 다우는 21살이 되던 해 매사추세츠주의 스프링필드에서 기자로서의 일을 시작합니다. 사무엘 보울리스의 기자로 4년간 일하던 그는 로드아일랜드에 위치한 프로비던스 스타지로 회사를 옮깁니다. 그 곳에서도 열정적으로 일하던 그는 지역의 저명한 신문사인 프로비던스 저널에서 일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당시 26살에 불과하던 다우를 믿지 못했던 당시 편집장은 고심끝에 그를 채용했는데 그게 바로 신의 한수가 됐습니다. 그는 이곳에서 현재의 월스트리트저널과 다우존스 지수를 설립한 아이디어를 얻었고 영혼의 파트너인 에드워드 데이비드 존스를 만났습니다.

다우는 지역의 산업 발전과 미래에 대한 선견지명이 있었습니다. 다양하고 풍부한 취재를 바탕으로 뉴욕과 프로비던스간의 경제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를 작성했습니다. 또한 지역의 역사와 경제에 대한 다양한 저술활동도 활발히 펼쳤습니다.

경제와 투자에 대한 눈이 뜨이는 기회가 그에게 찾아왔습니다. 다름 아닌 은광 채굴 현장 탐사였습니다. 풍부한 지식과 뛰어난 글솜씨로 이름을 알린 그는 1879년 국회의원, 투자자 등과 함께 콜로라도에 위치한 은광 채굴 현장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4일간의 기차여행 동안 그는 돈과 부와 관련된 신세계를 접했고 성공을 거둔 금융인들과 월스트리트에서 돈을 벌기 위해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 습득할 수 있었습니다. 4일간의 취재를 마치고 돌아온 그는 로키 산맥, 광산회사, 신흥 도시의 도박장, 술집, 댄스홀 등 그가 보고 경험하고 느낀 다양한 것들을 정리해 ‘리드빌 레터스’라는 정보지로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와 투자, 그리고 백만장자가 되는 법에 대한 정보를 잔뜩 담았습니다. 그렇게 돈과 경제, 그리고 부에 눈을 뜬 다우는 1879년 프로비던스를 떠나 미국 경제의 심장부 뉴욕으로 향했습니다. 에드워드 존스와 함께였습니다.

에드워드 존스
불과 29세였던 다우는 뉴욕의 ‘키르난 월스트리트 파이낸셜 뉴스’라는 매체에서 일자리를 구했습니다. 그리고 이곳에서도 에드워드 존스와 함께 머리를 맞대었습니다. 재무 보고서를 능숙하고 신속하게 분석하는 역량과 기민한 두뇌를 소유했던 존스는 다우와 콤비를 이루어 많은 기사를 작성하고 월가에서도 무사히 안착했습니다. 1856년생인 존스는 미국의 아이비리그 대학인 브라운대학교를 다니다 중퇴한 뒤 언론인으로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프로비던스에서 만난 다우의 권유로 함께 뉴욕으로 건너가 다시 힘을 합치며 다우의 영원한 동반자가 됐습니다.

당시 뉴욕에는 많은 돈이 돌아다녔고 그만큼 비리와 부정도 많았습니다. 당시 주가를 올리기 위한 조작된 뉴스나 호의적인 기사가 나오는 것도 일상이었습니다. 기자들 역시 이러한 기업들로부터 뇌물을 받아 기사를 작성하고 막대한 부를 쌓는 일도 비일비재했습니다. 하지만 다우와 존스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믿을 수 있는 양질의 정보를 보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들의 명성을 쌓고 싶다는 욕심이 컸습니다. 주식 시장에 대한 부정부패와 조작에 대한 회의감도 컸습니다.

이 둘은 월가에 새롭고 혁신적인 금융 뉴스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렇게 1882년 11월 그들은 회사 이름을 다우존스앤컴퍼니라 짓고 뉴욕증권거래소 지하에 조그마한 사무실을 차립니다. 그리고 당시 키르난 뉴스에 근무하고 있던 찰스 버그스트레서도 함께 퇴사해 함께 새로운 인생을 시작합니다.

애프터눈 레터
1883년 회사는 고객들의 오후뉴스(Customers‘ Afternoon Letter)라는 금융 뉴스를 2페이지 분량으로 요약한 기사를 작성해 배부하기 시작했습니다. 해당 정보지는 금방 입소문을 타고 1000명 이상의 구독자를 확보했으며 투자자들에겐 중요한 고급정보로 통용됐습니다. 정보지가 인기를 모으자 이들은 1889년 월스트리트저널이란 이름으로 첫 신문을 발행하며 공식 창간을 해냅니다.
WSJ 창간호
이와 더불어 월저널에 실을 다양한 금융,경제 정보 중 하나로 바로 주식 지수를 넣자는 아이디어가 나오게 됩니다. 그렇게 당시 주식 등락 추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바로 다우 존스 지수입니다. 이는 1896년 5월 처음 공개됩니다. 아이디어는 다우가 대부분 냈고 설계도 주도했습니다. 사실 에드워드 존스는 자신의 이름만 빌려줬습니다. 지수에 포함된 ’산업‘이라는 단어는 당시 주류 산업이었던 중공업을 의식한 단어였지만 현재는 중공업 뿐 아니라 다양한 기업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당시엔 12개 기업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30개 기업으로 바뀌었습니다. 1900년 이전 두 자릿수에 불과했던 지수는 1972년 처음으로 1000포인트를 돌파한 이래 현재 3만5000포인트를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포함기업엔 대표적으로 나이키, 맥도날드, 마이크로소프트, 비자, 인텔, 3M 등 국내서도 모르는 사람이 없는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포진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13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다우존스 지수는 현재 그 상징성만큼 영향력이 크지는 않습니다. S&P500 지수가 사실상 대표지수의 자리를 꿰차고 있으며 기술기업 중심의 글로벌 경제구도로 인해 나스닥에도 밀리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100년이 넘는 월가의 상징이자 터줏대감으로서 다우존스 지수의 존재감은 쉽게 사라지진 못할 것 같습니다.

찰스 버그스트레서
마지막으로 혹시 공동 창업자가 3명인데 왜 회사 이름과 지수이름은 두명으로만 이루어졌나 궁금하시진 않으셨나요? 사실 다우존스앤컴퍼니를 공동창업한 찰스 버그스트레서는 이들 성공의 숨은 조력자이자 창업의 일등공신으로 불립니다. 그렇다 보니 다우존스 지수가 사실 다우존스버그스트레서 지수라고 불렸을 수 도 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데요. 회사 이름과 지수에 그의 이름이 빠진 건 아무래도 그의 이름이 너무 길고 복잡해 넣기가 어려웠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창업 당시 현금이 부족했던 찰스 다우에게 자금을 주로 지원한 사람이 다름 아닌 버그스트레서입니다. 또한 키르난 뉴스에서 일하며 자신의 역량을 인정해주지 않자 회사를 떠날 계획을 세운 그는 가장 적극적으로 다우와 존스의 퇴사를 설득했던 사람이기도 합니다. 사실 그가 없었다면 지금의 월스트리트 저널도, 다우 존스 지수도 없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그는 월스트리트 저널이라는 회사명을 지은 작명가이기도 합니다. 그의 이름은 잊혔지만 그의 희생과 공헌은 전 세계를 대표하는 경제 미디어의 이름으로 남겨져 있습니다.

‘흥’미로운 ‘부‘-랜드 ‘전’(傳). 흥부전은 전 세계 유명 기업들과 브랜드의 흥망성쇠와 뒷야이기를 다뤄보는 코너입니다.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더욱 알차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