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3명이 8개월씩 재임…보스니아 ‘불안한 평화’
‘사라예보의 총성’ 100년 뒤
유고 분리 뒤 내전·학살 아픔
1995년 데이턴 평화협정으로 봉합
이슬람·가톨릭·정교 공존 형태
세르비아계 ‘헌법 거부’…긴장 고조
청년이 난간에 섰다. 한때 발칸의 화약고라 불렸던 곳,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이하 보스니아)의 서부 도시 모스타르. 해마다 이곳에서 7월 말 열리는 다이빙 대회 챔피언 출신인 청년은 10층 높이의 다리 위에서 시커멓게 흐르는 네레트바강으로 뛰어내린다. 다리를 메운 구경꾼들에게 돈을 받고 보여주는 ‘퍼포먼스’다.
강을 사이에 두고 반질반질한 자갈이 깔린 길을 따라 상점들이 줄지어 있는 이 작은 도시는 오스만제국 시절에 만든 다리로 유명하다. 강을 따라 교회의 종탑과 이슬람 사원의 미너렛(첨탑)이 번갈아 우뚝 솟아 있다. 이웃하고 마주 보는 첨탑, 십자가와 초승달. 아이스크림을 들고 다니는 관광객들 사이로 군데군데 묘지가 있다. 1993년. 묘석에 적힌 사망 연도가 모두 같다. 폐허로 남은 건물들, 도처에 총탄 자국이 선명하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이 붕괴될 당시에 보스니아 내의 크로아티아계(가톨릭교도)가 이슬람교 주민들을 학살했다. 15세기 오스만제국 시절에 만든 유서 깊은 다리마저 부쉈다. 지금 서 있는 다리는 2000년대에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다시 세운 것이다.
2023년 7월 보스니아로 여행을 떠났다. 모스타르 동쪽, 버스로 2시간30분 거리의 사라예보. 보스니아의 수도로 1984년 겨울올림픽이 열렸던 도시다. 100여년 전인 1914년 세르비아계 청년 가브릴로 프린치프가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황태자를 암살했던 라틴다리 옆 건물에 ‘1차 세계대전의 시발점’임을 알리는 사진들이 붙어 있다. 오스만 시절의 ‘가지 후스레브베그 모스크’를 중심으로 한 구시가지의 골목은 조금만 내려오면 유럽 스타일 거리로 바뀐다. 바닥에 동서를 가르는 선이 그려져 있다. 한 걸음 안쪽은 동양, 한 걸음만 내디디면 서양. 동과 서가 만나는 곳이다. 가톨릭교도의 ‘예수 성심 대성당’ 부근에 보스니아 정교회 대성당이 있고, 실개천만 한 밀랴츠카강 건너에는 이슬람교도의 ‘황제의 모스크’가 있다. 이슬람교도들에게 기도 시간을 알리는 모스크의 안내방송인 ‘아잔’과 교회의 종소리가 하루에도 몇번씩 번갈아 울린다.
스레브레니차 7·11 학살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시절의 요새로 올라가는 언덕길에 새하얀 묘비들이 햇빛을 받아 반짝거린다. 모두 1992~1995년에 숨진 사람들이다. 보스니아 북동쪽은 크로아티아와 이어져 있고, 동쪽은 세르비아와 맞닿아 있다. 보스니아 안의 정교도들이 세르비아의 지원을 받아 내전을 일으켜 3년 넘게 사라예보를 봉쇄했고, 잔혹한 학살극을 벌였다. 동과 서뿐만 아니라 과거와 현재, 전근대와 근대, 문명과 야만이 뒤죽박죽 섞인 도시에서 시민들이 여름날을 즐긴다.
사라예보에서 다시 동쪽으로 2시간 남짓 자동차로 달리면 스레브레니차 마을이 나온다. 세르비아계의 ‘인종 청소’로 여기서 이슬람교도 830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어른뿐 아니라 어린 소년들까지, 남성들을 골라내 수용소에 가두고 고문하고 학살했다. 묘지에 적힌 기나긴 이름들, 한 집안이 몰살당했음을 보여주는 같은 성씨의 목록들. 유해를 못 찾은 ‘실종자’가 1000명이 넘어 아직도 발굴과 매장이 이어지고 있다. 묘지 옆 제노사이드(집단학살) 박물관은 유고 시절 차량용 배터리 공장이었던 건물이다. 학살 당시 스레브레니차는 유엔이 설정한 ‘안전지대’였고, 유엔군으로 파견된 네덜란드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그러나 ‘더치뱃’(네덜란드 여단)으로 불리던 유엔군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지금 오래된 공장 건물은 학살 기념관이자 ‘유엔의 실패를 보여주는 기념관’으로 쓰이고 있다. 학살이 시작된 1995년의 그날을 가리키는 ‘7·11’이라는 숫자는 한국의 ‘5·18’이나 미국의 ‘9·11’처럼 이곳 사람들에게 각인돼 있다. 지난달 11일에도 희생자 유족들은 추모식에 찾아와 통곡했고, 여기저기서 새로 ‘발굴’한 유해 30구가 그제야 묘지에 안장됐다.
겉보기에는 안정되고 정갈한 사라예보, 관광객들로 넘쳐나는 모스타르, 기념관으로 남은 스레브레니차. 한국 절반 크기의 땅에 380만명이 살아가는 보스니아, 이곳 사람들에게 30년은 긴 세월일까, 짧은 세월일까.
1995년 미국 빌 클린턴 정부의 중재로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와 ‘데이턴 평화협정’을 맺으면서 전쟁은 끝났다. 제조업은 유고 시절만큼도 못하고 코로나19에 관광산업마저 타격을 입었지만, 1인당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만5000달러(약 2000만원) 선이니 가난하다 할 수는 없다. 교육 수준도 높고 주거 환경과 생활은 안정적이다. 하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총탄 자국과 묘지들처럼, 정치는 복잡하다. 데이턴 평화협정으로 만들어진 헌법은 종교-종족 간 싸움을 막기 위한 권력 분점에 초점을 맞췄다. 그래서 이슬람교도, 정교도, 가톨릭교도를 대표하는 3명의 대통령이 4년 임기 동안 8개월씩 돌아가며 재임한다. 의회도, 각료회의도 여느 나라와는 다르게 운영된다.
☞한겨레S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클릭하시면 에스레터 신청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한겨레신문을 정기구독해주세요. 클릭하시면 정기구독 신청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나는 악마의 아이가 아닙니다”
이 복잡한 체제는 늘 불안 요인을 안고 있다. 내전 시절 세르비아계는 ‘스릅스카 공화국’이라는 정치체를 만들었는데, 데이턴 협정은 그들의 존재를 인정한 채로 체결됐다. 그래서 이슬람교도가 다수이고 크로아티아계(가톨릭교도)가 함께 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정교도가 절대다수인 ‘스릅스카’가 한 나라 안에 공존하게 된 것이다. 스릅스카의 정치 지도자들은 최근 자신들의 지역에서 연방국가 헌법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게끔 규정한 법안을 만들었다. 지난달 말 미국 국무부는 이 법안이 데이턴 체제의 뿌리를 흔드는 짓이라며 밀로라드 도디크 등 스릅스카 정치인 4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사라예보타임스 등은 이 조처를 환영하는 기사를 실었지만, 심상찮은 분위기는 주변국들로까지 번지고 있다. 스릅스카를 지원해온 세르비아는 곧바로 “미국의 제재를 따르지 않겠다”고 했고, 극우파 정권이 집권하고 있는 헝가리도 스릅스카 편에 섰다.
1977년생 에미르는 사라예보에서 태어나 16살에 봉쇄를 겪었다. 전쟁의 기억은 그에게 늘 현재진행형이다. 정교도나 이슬람교도나 가톨릭교도들이나 모두 수백년 동안 한데 어울려 살았는데, 왜 그토록 잔인한 일이 벌어졌는지 “나도 보스니아인이지만 아직도 이해하지 못한다”고 했다.
“나는 증오의 아이, 악마의 아이가 아닙니다. 나는 내 엄마의 아이일 뿐입니다.” 구시가지 골목길의 어린이 전쟁박물관에 걸린 전시물에는 전시 성폭행으로 태어난 아이의 증언이 걸려 있다. 어른이 되었을 그 아이는 이제는 행복해졌을까. 스릅스카가 다시 분란을 일으키면 보스니아의 아슬아슬한 평화는 언제고 흔들릴 수밖에 없다. 보스니아는 위태로운 평화를 지켜낼 수 있을까.
국제 전문 저널리스트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윤 정부 고질병 도졌다…‘국정 실패 결정판’ 잼버리 [논썰]
- 하와이 산불 사망 최소 80명, 건물내부 수색도 못해…“역대 최악”
- “여행하는 잼버리 처음” 사무총장 일침…한덕수 “선제대응” 자찬
- ‘경제적 자유’가 없다면 팔아야 할 것…바로 당신의 인생
- ‘돌봄 아는 이 남자’ 원했다…외국인 가사도우미는 넣어두시라
- ‘납치 국가폭력’ 맞다더니 배상엔 “불복”…두 얼굴의 정부
- 태풍 ‘카눈’에 전동휠체어 이동중 실종 60대 숨진 채 발견
- “숨진 아내는 제 첫사랑”…분당 흉기난동 유족, 피해자 공개한 이유
- ‘조현병 환자’ 그들을 가두면 우린 안전해질까? [The 5]
- ‘아이돌 갈아넣기’ 잼버리 파행 덮은 정부…염치는 어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