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칼[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411〉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현대시에서 '칼'이란 자주 볼 수 있는 소재가 아니다.
이번 여름의 한 문예지에는 김소형 시인의 '여름의 칼'이 실려 있다.
결코 남을 해하는 칼의 이야기가 아닌데도 우리는 이 '여름의 칼'이라는 단어에 멈칫하게 된다.
왜 우리는 무서운 '여름의 칼'을 알게 되었을까.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툇마루에 앉았다
참외를 쥐고 있는 손
예전부터 칼이 무서웠지
그러나 무서운 건 칼을 쥔 자의 마음
사람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일을
칼은 알아야 한다
여름의 창이 빛나고
열차는 북쪽으로 움직이고
강가에서
사람은 말을 잃고 있었다
(하략)
―김소형(1984∼ )
우리 현대시에서 ‘칼’이란 자주 볼 수 있는 소재가 아니다. 시인들은 꽃이나 나무, 별이나 달빛을 간절히 쥐고 싶어 했지, 칼은 즐겨 잡지 않았다. 사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어서 가까이에서는 이형기 시인, 조금 더 멀리서는 유치환 시인에게서 칼의 시를 찾아볼 수 있다. 이 두 시인은 연약한 자아를 단련시키려는 뜻에서 칼의 이미지를 가져왔다. 다시 말하자면 내적이고 강한 정신력이 바로 칼의 진짜 의미였다. 결코 다른 사람을 공격하는 무기가 아니었다는 말이다.
이번 여름의 한 문예지에는 김소형 시인의 ‘여름의 칼’이 실려 있다. 이 시에서 칼을 쥔 사람은 선한 사람이다. 그는 칼로 참외를 깎고 있으며, 지면상 여기 다 싣지 못한 시의 후반부를 보면 달콤한 참외 조각을 나누어 먹고 싶다. 결코 남을 해하는 칼의 이야기가 아닌데도 우리는 이 ‘여름의 칼’이라는 단어에 멈칫하게 된다. “무서운 건 칼을 쥔 자의 마음”이라는 구절에서는 시선을 오래 떨구게도 된다.
왜 우리는 무서운 ‘여름의 칼’을 알게 되었을까. 왜 우리는 이 지경까지 왔을까. 아무리 생각해봐도 문제는 칼이 아니라 칼을 쥔 마음이다. 여름에는 여름답게 더위하고만 싸우고 싶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만명 파도타기-응원봉 환호… 잼버리 ‘K팝 피날레’
- [김순덕의 도발]눈 떠보니 후진국…‘잼버리 트라우마’ 어쩔 것인가
- 고민정, ‘김은경 혁신안’ 정면비판 [청계천 옆 사진관]
- 尹대통령 “LH 혁신·건설 카르텔 혁파 차질없이 이행하라”
- 해병대 前수사단장 “사단·여단장 과실있다 했더니…대대장 이하로 축소 외압”
- 마약 취해 인도 돌진 ‘롤스로이스男’ 구속
- 돌려차기男 “32살에 20년형은 무기징역… 여론 의식 과도한 형량”
- 이재명 “尹, 국가 대신 가계가 빚지는 정책 펼쳐” 추경 재차 촉구
- YTN ‘흉기 난동’ 최원종 뉴스에 이동관 사진 사용…논란 일자 사과
- 한동훈 “서현역 칼부림 피해자, 모든 방법 동원해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