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겪은 뒤 우울증 관리 안 하면 사망률 44% 더 높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심근경색·협심증 등으로 심정지를 겪은 뒤 우울증 진단을 받은 환자의 장기 사망률은 우울증이 없는 환자보다 4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재훈·조용일·이준철 한양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통해 2005년 1월~2015년 12월 '병원 밖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로 입원한 환자 중 1년 이상 생존한 환자 2,37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심근경색·협심증 등으로 심정지를 겪은 뒤 우울증 진단을 받은 환자의 장기 사망률은 우울증이 없는 환자보다 4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재훈·조용일·이준철 한양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통해 2005년 1월~2015년 12월 ‘병원 밖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로 입원한 환자 중 1년 이상 생존한 환자 2,37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3세였으며, 78%가 남성이었는데 이 중 397명(16.7%)의 환자가 우울증이나 불안으로 진단됐다.
이들을 그렇지 않은 환자들과 비교한 결과 우울증이나 불안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추적 기간 사망률이 41% 이상 높았다. 특히 우울증을 진단받은 환자군의 사망률은 44% 더 높았다.
병원 밖 심정지 환자 발생률은 10만 명당 84명 정도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지만, 소생한 환자들은 좋은 예후와 장기적인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병원 밖 심정지 환자는 초기에 무산소증과 허혈-재관류 손상 등으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하고, 이는 신체·인지·사회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졌다.
기존 연구에서도 병원 밖 심정지 환자들의 우울증 및 불안의 발생률과 정신장애로 인한 삶의 질 변화에 대한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
오재훈 교수는 “병원 밖 심정지 환자들은 저산소성 뇌 손상이나 심부전 등의 합병증으로 신체적인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회복 후에 우울증이나 불안장애가 생길 수도 있다”고 했다.
오 교수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환자들이 급성기 심정지 치료 이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통한 우울이나 불안 등의 정확한 진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진단된 환자들은 정기적이고 장기적인 추적 관찰로 사망률을 낮추는 데 활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타강사에서 30억 빚쟁이 돼보니...“인생과 게임을 헷갈리지 마세요”
- "충격"... 불타 전소된 추신수 '1200평 저택' 다시 보니
- "1인칭 슈팅게임하듯 살인"... 검찰이 밝힌 신림동 흉기난동범 범행 과정
- "동궁마마 공부하실 시간이옵니다"…'왕의 DNA 아이' 키우는 법?
- 모습 드러낸 '롤스로이스 男', "마약 안 해...구호조치 했다"...오늘 영장심사
- 욕설은 기본, 흉기 난동까지 부리는데… "녹음기 들고 싸우라고요?"
- 학폭·사이비 종교 피해자에 초능력이... 한국형 '약한 영웅' 전성시대
- "굳이 못 갈 이유가..." 광복절 일본행 비행기 타는 청년들, 왜?
- 시베리아 뼛조각 소녀 출생의 비밀은... 과학이 풀어낸 고대 인류 '러브 스토리'
- "시골은 자유다" 러스틱 라이프에 빠진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