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아픔을 과학으로 극복한 그들…‘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22년 11월 동아일보에는 독일 출신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에 대한 특집 기사가 실렸다.
나라를 잃은 유대민족 출신이 과학으로 세계에서 인정받고, 민족을 위해 대학을 세우며 후학을 양성했다는 아인슈타인의 서사는 당시 조선 지식인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조선인들이 과학에 빠진 건 자강을 위해서였다.
그럼에도 저자는 과학에 대한 조선인들의 열망이 지금의 우리나라를 만들었다고 말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22년 11월 동아일보에는 독일 출신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에 대한 특집 기사가 실렸다. 아인슈타인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고, 일본에 방문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그를 소개한 것이다. 특히 기사는 아인슈타인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군국주의에 맞섰다는 이야기에 초점을 맞췄다.
나라를 잃은 유대민족 출신이 과학으로 세계에서 인정받고, 민족을 위해 대학을 세우며 후학을 양성했다는 아인슈타인의 서사는 당시 조선 지식인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과학을 공부하면 나라를 되찾을 수 있다는 희망이 들끓었다. 이듬해엔 유학생들 주도로 ‘상대성 이론’ 강연이 조선에서 열렸다.
조선인들이 과학에 빠진 건 자강을 위해서였다. 일제의 차별을 넘어서 인정받기 위해선 과학이 가장 빠른 길이라 생각했던 것이다. 이태규(1902~1992)는 화학 박사 학위를 딴 뒤 교토제국대 교수가 됐고, 이후 양자화학 분야에서 세계적 석학으로 성장했다. 한국 근대농업의 아버지로 불리는 우장춘(1898∼1959)이 1935년 ‘종의 합성’ 논문을 발표해 국제적 명성을 얻은 것도 과학이라는 길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자강은 곧 독립운동의 기반이라는 신념도 영향을 미쳤다. 독립운동가 서재필(1864∼1951)은 신학 공부를 하라는 후원자의 제안을 거절하고, 미국에서 의사가 된 뒤 한국으로 돌아와 과학을 공부해 독립하자는 주장을 펼쳤다. 1931년 동아일보가 주축이 돼 시작한 ‘브나로드 운동’(민중 속으로)도 과학 공부를 강조했다. 1935년 서울 시내를 뒤흔든 ‘과학데이’ 행사 땐 작곡가 홍난파(1897~1941)가 작곡하고 시인 김억(1896~?)이 작사한 ‘과학의 노래’가 울려펴졌다. “과학 과학 네 힘의 높고 큼이여.”
“과학으로 우리는 식민지에서 벗어나고, 전쟁의 잿더미에서 불과 몇십 년 만에 선진국 대열에 올라서는, 세계사에 유례없는 기적을 보여준 것이다. 이 책은 시대의 아픔과 비극을 과학으로 극복하려 했던 분들의 이야기다.”
이호재 기자 hoh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산 트럭서 10대 남매 숨진채 발견…범인은 아빠였다
- 유승민 “尹 대통령, 오염수 방류 반대하는 국민과 싸우겠다는 것”
- “화나서”…소화기로 공중화장실 창문 부수고 車 내려친 여성
- [속보] 尹 “前정부 푹 빠졌던 ‘재정 만능주의’ 단호히 배격”
- 건망증·우울증 앓던 호주 여성, 뇌 속에 기생충 ‘꿈틀’
- 김정은, 한미일 정상 향해 “깡패 우두머리” 비난
- 오늘 ‘경술국치일’인데…국내 쇼핑몰서 버젓이 가미카제 상품 판매
- 대한항공, 오늘부터 비행기 탑승 전 승객 몸무게 잰다
- “낯가리고 울어서” 생후 2개월 아들 때려 상해 입힌 친부 ‘집유’
- 허진 “갑질로 연예계 쫓겨나 35년 개고생, 수중에 700원”…전원주 “시건방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