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비 마진 15%→50%…기업의 탐욕 ‘그리드플레이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과 '이윤 주도 인플레이션'(Profit-led Inflation). 2023년 3월 이후 글로벌 경제에 등장해 점점 더 확산하는 같은 뜻을 담은 용어다.
기업들의 급격한 제품비 인상 흐름, 즉 탐욕스러운 이윤 추구 행동이 미국·유럽 등지에서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더딘 까닭을 설명해주는 주요인이라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계완의 글로벌 경제와 사회
▶이코노미 인사이트 구독하기http://www.economyinsight.co.kr/com/com-spk4.html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과 ‘이윤 주도 인플레이션’(Profit-led Inflation). 2023년 3월 이후 글로벌 경제에 등장해 점점 더 확산하는 같은 뜻을 담은 용어다. 40년 만에 닥친 최악의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노동자는 실질임금이 떨어지고 가계·소비자는 생활 수준이 하락했다. 그런데 팬데믹이 끝났고 공급망 균열도 다소 완화되고 있는데다 폭등했던 글로벌 에너지·곡물가격이 2022년 말부터 빠르게 안정화했음에도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는 왜 빠르지 않은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영국 경제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2023년 3월 말 ‘그리드플레이션’을 헤드라인으로 뽑았다. 기업들의 급격한 제품비 인상 흐름, 즉 탐욕스러운 이윤 추구 행동이 미국·유럽 등지에서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더딘 까닭을 설명해주는 주요인이라는 것이다.
이윤이 주도하는 인플레
‘이윤 주도 인플레이션’은 스위스 최대 투자은행 유비에스(UBS)의 수석이코노미스트 폴 도노반이 역시 3월에 제출한 최근의 인플레이션 양상 진단 보고서에서 주장했다. 그는 “최근 인플레는 대부분 기업의 이윤 팽창이 주범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에서 인플레 영향 요인을 분해하면 기업의 제품비 마진 확대가 15%인데 요즘은 50%까지 다다랐다”고 분석했다. 기업마다 이번 인플레 국면을 좋은 기회로 삼아 상품 판매가격을 경쟁적으로 높이고, 최근 수취하는 이윤율을 보면 정상 이윤을 넘어서는 부당한 ‘이윤 폭리’(Profit Surging)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전통 거시경제학은 기업이 가격·수량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시장을 고려하기 때문에 ‘제품 판매가격이 지속적인 물가 급등을 촉발할 수 없다’고 본다. 판매가격 변동에 따라 ‘이윤-물가’가 상호작용하는 나선형 경로는 경제학 집단에서 주변부의 비주류 이론이었다. 그 대신에 주류 이론은 물가와 고용(실업률)이 적어도 단기에서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전통 필립스곡선의 등장(1958년) 이래 ‘물가-임금’의 나선형적 인플레 악화 경로에 기초해 “물가 고삐를 잡으려면 노동비(임금)를 줄여야 한다”는 정책 처방을 권고해왔다. 기업 이윤 폭증이 인플레 주범이라면 이제 필립스곡선을 수정해야 하거나 적어도 이번 인플레 시기에는 들어맞지 않는 곡선이라는 얘기로 흘러간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의 이사벨라 베버 경제학 교수는 최근 미국 보스턴 지역 공영라디오 <WBUR>에서 이렇게 말했다. “기업이 요즘 제품비를 올리는 까닭은 단순하다.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상황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기업들이 ‘내가 가격을 경쟁자보다 올려도 지속적인 제품 판매가 여전히 가능하다’는 사실을 점점 습득하고 있다는 점이다. 내가 가격을 올리면 경쟁 기업이 다시 가격을 올려주기 때문이다. 팬데믹 같은 또 다른 쇼크가 오면 이제 기업들은 더 빨리 가격인상에 착수할 좋은 기회로 여길 것이다.”
기업이 제품 가격 올리는 이유
이윤 폭리가 인플레 압력의 원천이라는 진단 속에서 <금융자본론>(1910)을 쓴 독일 좌파경제학자 루돌프 힐퍼딩의 말(“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자본가가 생산하는 것은 상품이 아니라 그 상품 속에 있는 이윤이다”)까지 재등장한다. 결국 가계·소비자·임금노동자와 기업·주주 사이에 벌어지는 임금몫과 이윤몫, 실질구매력 하락과 주가 상승, 금리인상 및 물가상승 충격의 피해를 둘러싼 분배 논쟁이기 때문이다. 그리드플레이션을 향한 불만과 분노 속에 미국 노동부장관을 지낸 경제학자 로버트 라이시는 2022년 10월 트위터에서 “우리가 지금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려면 기업 이윤을 조준해야 한다. 노동자 임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겨레> 선임기자 kyewa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리허설 없는 ‘초치기 콘서트’…태풍 지나도 인파·급조 무대 걱정
- 태풍 가시고 남쪽부터 무덥고 습한 날씨 ‘컴백’
- 쇄신 아닌 ‘이재명 팬덤’ 물꼬 튼 민주당 혁신안…갈등 화약고 되나
- “내 아이 왕의 DNA, 명령 말라”…교육부 사무관이 교사에게
- 해병대수사단 브리핑하려던 내용 보니 “늑장 지시 탓 사고”
- 중고 사기? 법은 가깝고 반드시 잡힌다 [ESC]
- ‘수십억 보조금’ 자유총연맹에 집결하는 극우들…총선 개입하나
- 동료피습 목격 교사에 ‘아로마 향기’…대전교육청 이상한 심리지원
- 서식지 달랐던 두 인류가 딸 낳은 비결은 기후변화
- SPC 계열사 끼임 사고 50대 노동자 숨져…중대재해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