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패권 힘겨루기 불꽃튄다...바이든 中 압박에 한국 선택은

한예경 기자(yeaky@mk.co.kr), 진영태 기자(zin@mk.co.kr) 2023. 8. 11. 07: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상회담 문구 절제하면서도
공동 노선은 맞춰가는 쪽으로
중국은 50억弗 칩 사재기 맞대응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맨 오른쪽)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현지시간) 중국의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미국 자본 투자제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이어 오는 18일 인도태평양지역 동맹국인 한국·일본과 3국 정상회담을 개최하면서 대중국 압박 노선 동참을 요구할 전망이다. 한국 정부도 어떤 방식으로든 참여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담에서 미국 정부는 G7 국가들이 대중국 경제압박 공동노선을 구축해야한다고 주장해 ‘경제압박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 플랫폼’ 설치에 합의한 바 있다.

당시 이 플랫폼 내용이 구체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미국은 한 국가가 부당하게 경제적으로 압박을 받으면 다른 나라가 도와줄 수 있는 형태인 경제판 집단안보(Collective Economic Security)를 구상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G7 정상회의에 초대됐던 윤석열 대통령도 당시 정상들이 이같은 내용에 합의하는 것을 지켜봤다. G7에 속해있는 미국과 일본이 이처럼 대중국 경제압박에 공동노선을 견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G8의 지위를 노리고 있는 한국이 노선을 달리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그러나 지난 2016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사태’로 인한 중국의 경제보복을 경험한 바 있어 중국의 경제압박에 공동전선 구축을 확실히 하되, 한국의 이해관계를 반영해 수위조절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이같은 상황을 감안해 이번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대중국 경제압박 공동대응 방안이 논의되더라도 정상회담 결과문구에서 노골적인 압박을 드러내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전반적으로 논의는 되겠지만 대응은 유연하게 하겠다는 게 한국 정부의 입장이다. 중국에 진출한 기업은 물론 한중 간 수출입 사정 등을 완전히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중국 첨단기업 자본투자규 정책을 국가안보를 위한 정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반도체와 설계, 양자컴퓨터, 인공지능(AI) 기술기업에 대한 자본투자를 제한하는 목적이 군사적 사용을 막겠다는 취지라는 설명이다.

과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초토화전략(Scorched-earth tactic)으로 디커플링(탈동조화)에 가까웠다면 바이든 행정부는 ‘마당은 작게, 담장은 높게(Small yard, high fence)’전략으로 맞춤형 표적에만 제재를 가하겠다는 의미다.

블룸버그통신 등은 아직 세부지침이 나오지 않았지만 당초 예상했던 전면적인 투자제한이 아닌 벤처·스타트업 기업으로 축소된 규제라고 해석했다. 주무부처인 미국 재무부도 “특정 국가에 대한 안보기술 및 미국투자문제”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하며 최종 세부지침 마련을 위한 공개의견수렴에 들어갔다.

중국 외교부는 그러나 “미국은 시장경제와 공정경쟁 원칙을 엄중히 위반했고, 세계화에 역행하는 탈중국화를 도모한 것”이라며 “중국은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과 디커플링을 하거나 중국 경제 발전을 저해할 뜻이 없다고 한 약속을 확실히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반발했다.

미국의 대 중국 첨단기술 규제가 강화되자 중국 IT(정보기술)기업들은 ‘반도체 사재기’에 나서고 있다. 고사양모델이 이미 수출금지된 만큼 추가적 규제에 맞서 저사양모델이라도 미리 대량으로 쟁여놓는 분위기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는 9일(현지시간)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 등 중국 기업들은 미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에 50억달러(약 6조5000억원)어치의 칩을 주문해둔 상태라고 보도했다. 이중 올해만 10억달러어치 약 10만개가 중국에 인도되며, 내년에는 40억달러어치가 공급될 예정이다. 미국이 A100의 중국수출은 차단하자 A800을 대체품으로 대량구매한 셈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추가제재를 통해 A800도 막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차세대 AI기술은 엔비디아의 GPU가 시장의 90%를 차지한 만큼 전세계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때문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