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행정 착오로 지연 부산촬영소, 연내 착공 가능한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영상도시 부산의 마지막 퍼즐이 될 부산종합촬영소 착공이 올 연말로 다시 늦춰졌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최근 부산시 기장군 등 관계기관과 회의를 열고 이를 공식화 했다.
부산촬영소는 올 2월까지만 해도 착공 시기를 7월로 잡았으나 그 사이 변수가 생겼다.
기장군이 도예촌 관광단지 일부를 촬영소 건립 부지로 무상 대여하기로 했는데, 빌린 땅에는 영구 시설물을 지을 수 없다는 관련법 조항을 뒤늦게 알게 되면서 일이 꼬인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영상도시 부산의 마지막 퍼즐이 될 부산종합촬영소 착공이 올 연말로 다시 늦춰졌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최근 부산시 기장군 등 관계기관과 회의를 열고 이를 공식화 했다. 부산촬영소는 올 2월까지만 해도 착공 시기를 7월로 잡았으나 그 사이 변수가 생겼다. 이유는 어이없게도 행정 착오다. 기장군이 도예촌 관광단지 일부를 촬영소 건립 부지로 무상 대여하기로 했는데, 빌린 땅에는 영구 시설물을 지을 수 없다는 관련법 조항을 뒤늦게 알게 되면서 일이 꼬인 것이다. 영진위와 기장군이 해결 방안을 겨우 찾기는 했지만 행정절차에 시간이 걸린다. 부산촬영소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했던 기장 주민은 뿔이 단단히 났다.
부산촬영소 건립 지연은 부산 전체의 한숨거리다. 영진위가 부산으로 이전한 이후부터 따져 봐도 올해로 딱 10년째다. 처음엔 경기도 남양주 종합촬영소 매각이 늦어진다는 게 이유였다. 이후 기장군이 땅을 무상으로 제공하겠다고 나서면서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것 같았지만 실시협약 당시 ‘2017년 착공 2020년 준공’이라는 계획은 틀어진 지 오래다. 우여곡절 끝에 올 초 건립 계획이 확정됐을 때도 자금 부족 등 이유로 후반작업시설은 빠져 사실상 반쪽짜리가 됐다. 이렇게 질질 끌 줄 알았다면 다른 시설을 유치했어야 한다는 기장 주민의 불만이 터져 나오는 건 이상한 일이 아니다. 도예촌 조성비 상당액이 주민에게 돌아가야 할 원전보상금이어서 더욱 그렇다.
행정 착오라는 변명은 한심하기 그지 없다. 기장군이 부지를 제공하면 땅을 받는 영진위에서 법적 문제가 없는 지 철저히 확인했어야 한다. 두 기관이 협약한 게 벌써 7년 전이다. 그 오랜 기간 법규정을 몰랐다는 사실은 무엇으로도 설명이 안 된다. 사정이 이러니 영진위의 부산촬영소 건립 의지에 의문이 생기는 것이다. 부랴부랴 영구 시설물 건축이 가능하도록 부지 성격을 바꾸고 분할 매입 방안도 고려한다지만, 임대기간이 끝나는 20년 후 땅값이 얼마나 오를지 몰라 자금 부담은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 있다. 영진위 재정 여건으로는 매입이 최종적으로 불발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연내 착공은 희망사항일 뿐 또다시 해를 넘길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영화촬영소는 수도권 점유율이 높다. 실내 스튜디오의 80% 이상이 수도권에 있다. OTT물 증가 등 영향으로 콘텐츠 생산 수요는 폭발한다. 부산이 촬영소 건립에 미적거리는 사이 경북 문경 등 다른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선점에 나섰다. 이러다가 영화 촬영 수요를 타도시에 빼앗기고 부산엔 껍데기만 남는다는 걱정이 기우는 아니다. 부산은 안 그래도 아시아 최고 영화영상도시로서 위상이 흔들린다. 올해 사상 처음으로 이사장과 집행위원장 없는 행사가 될 예정인 부산국제영화제(BIFF) 상황이 그를 상징한다. 촬영소 건립 지연 책임에서 부산시도 자유롭지 않다. 구경만 하다간 부지도 촬영소도 모두 잃어버리는 수가 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