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드 사태’ 6년여 만에 한국 단체관광 허용

이종섭 기자 2023. 8. 10. 20: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일본 등 78개국 여행 대상에
한국인 비자 지문 채취 한시 면제
비자발급용 지문 채취 중단…한국인 입국 문턱도 낮추는 중국 10일 서울시내의 한 중국비자신청서비스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전날 위챗(중국판 카카오톡) 계정을 통해 한국에서 중국행 비자를 발급할 때 지문을 채취하던 절차를 상무(M)·여행(L)·친척방문(Q)·경유(G)·승무(C) 비자에 한해 올해 12월31일까지 중단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유커(游客·중국인 단체관광객)가 돌아온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대유행 시작 3년여 만에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을 전면 허용하기로 하면서, 한국도 사실상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이후 6년여 만에 다시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10일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을 허용하는 국가와 지역에 관한 3차 명단을 발표했다. 명단에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단체여행이 금지됐던 한국과 미국, 일본 등 78개국이 포함됐다.

문화여유부는 “중국 공민의 해외 단체여행과 관련한 여행사 업무를 시범적으로 재개한 뒤 여행 시장이 전반적으로 평온하게 운영돼 관광 교류·협력을 촉진하고 긍정적인 역할을 발휘했다”며 확대 배경을 밝혔다.

단체여행 허용 대상국에는 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을 포함해 12개국, 북·남미에서는 미국과 멕시코 등 14개국이 포함됐다. 독일과 영국 등 유럽 27개국, 호주 등 오세아니아 7개국, 알제리와 튀니지 등 아프리카 18개국도 명단에 들어 있다.

전 세계 상당수 국가로의 여행이 허용된 것이지만 아직 국경 개방 신호를 보이지 않는 북한과 지난 5월 중국과 외교관 추방 조치로 마찰을 빚은 캐나다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한국의 경우 이번 조치로 사실상 6년여 만에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다시 맞을 수 있게 됐다. 한국은 사드가 임시 배치된 2017년 초부터 중국 당국이 보복 조치의 일환으로 여행사들의 한국 단체여행 모객을 암묵적으로 금지시키면서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발길이 사실상 끊어졌다.

중국 단체관광 허용

이후 2018년과 2019년 부분적으로 단체관광이 재개됐지만 2020년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중국인의 단체관광이 다시 전면 중단된 상태였다. 중국인 단체관광 재개 등 인적 교류가 확대되면 그동안 얼어붙어 있던 한·중관계 개선에도 일정 부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이날 발표된 중국인 해외 단체여행 허용 방침은 여행사들로 하여금 항공권과 호텔 등을 연계한 해당 국가 관광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문화여유부는 이 조치가 당일부터 즉시 시행된다고 밝혔다. 중국은 또 이날부터 한국인 여행객들에게 비자 발급 시 요구해온 지문 채취 절차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기로 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오는 12월31일까지 상무, 여행, 친척방문, 경유, 승무 비자 신청자에 대한 지문 채취 절차를 중단한다고 안내했다.

앞서 중국은 올해 초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폐지한 뒤 1~2차에 걸쳐 60개국의 해외 단체여행 대상국 명단을 발표했지만 한·미·일은 제외했다.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방역 강화 조치로 갈등을 빚은 데다, 미국의 대중국 견제 정책에 동참한 데 대한 보복성 조치라는 해석이 많았다.

이번 3차 명단에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을 포함한 것은 최근 미국과의 대화 재개 및 한·중·일 정상회담 추진 등 여러 외교적 여건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소비 확대를 통한 경기 부양 효과를 고려한 전략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최근 디플레이션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등 중국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항공산업 등 경제 파급효과가 큰 관광산업 개방 확대를 선택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다음달 23일부터 열리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활발한 인적 교류 분위기를 조성, 이를 통해 대중국 우호 정서를 형성하기 위해서라는 관측도 있다.

베이징 | 이종섭 특파원 noma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