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발 묶인 제주…날아온 바닷물에 "밭 보니 속상"

김덕현 기자 2023. 8. 10. 20: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풍 때문에 주민들이 걱정 속에 지난밤을 보낸 제주에서는 다시 맑은 하늘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네, 저는 제주공항 국내선 출발 대기실에 나와 있습니다.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은 내일부터 운항이 전면 재개됩니다.

태풍 이동 경로가 제주 동쪽으로 비껴가면서 인명 피해나 건물 사고는 없었지만, 제주 동북부 바닷가 일대 농경지 158헥타르가 물에 잠기는 등 모두 26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태풍 때문에 주민들이 걱정 속에 지난밤을 보낸 제주에서는 다시 맑은 하늘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하지만 하늘길이 완전히 다 열리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 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덕현 기자, 뒤에 사람들 모습이 꽤 많이 보이는데 지금 비행기가 어느 정도 다시 다니고 있는 겁니까? 

<기자>

네, 저는 제주공항 국내선 출발 대기실에 나와 있습니다.

한산했던 어제(9일)와 달리 오늘 오후 무렵부터 짐가방을 챙겨 게이트로 이동하는 탑승객들을 꽤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저녁 6시 기준 국내선과 국제선, 출발과 도착 항공기를 합쳐 235편의 운항이 취소됐습니다.

이 가운데 204편은 사전에 취소가 결정됐던 일정으로, 거셌던 비바람이 그치고 화창한 날씨를 회복한 오후부터 항공기들이 정상적으로 뜨고 내리면서 지금도 몇 분 간격으로 이착륙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다만, 다른 지역 공항이 태풍 영향권에 든 상황이라 완전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전망입니다.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은 내일부터 운항이 전면 재개됩니다.

<앵커>

그렇군요. 또 제주 지역 태풍 피해 상황은 어땠는지 이 내용도 정리를 해 주시죠.

<기자>

태풍 이동 경로가 제주 동쪽으로 비껴가면서 인명 피해나 건물 사고는 없었지만, 제주 동북부 바닷가 일대 농경지 158헥타르가 물에 잠기는 등 모두 26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특히, 강한 바람과 함께 날아온 바닷물의 염분이 농작물 잎을 말라죽게 할 수 있어서 농민들 걱정이 큽니다.

[김하선/피해 당근 농가 : 밭 보니 속상해서 살아지겠습니까. 씨 죽어버려서 뭐가 안됩니다. 재파종을 하거나 해야 할 텐데 나 혼자 재파종도 못하고, 이제 또 비룟값도 들여야 하고….]

제주도는 농가 피해 규모를 파악한 뒤 국가 차원의 지원 방안도 요청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강명철 JIBS·부현일 JIBS, 영상편집 : 최은진)

김덕현 기자 dk@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