덱스터 스튜디오, '무빙' 기술 참여…한국형 히어로물 진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풀 원작 웹툰 '무빙'이 글로벌 OTT 시리즈로 재탄생해 새롭게 돌아왔다.
VFX·콘텐츠 제작 전문기업 덱스터스튜디오는 디즈니+의 오리지널 시리즈 '무빙'의 영상과 음향 기술에 참여했다고 10일 밝혔다.
스튜디오앤뉴와 미스터로맨스가 공동 제작한 '무빙'은 초능력을 숨긴 채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과 아픈 비밀을 감춘 채 과거를 살아온 부모들의 이야기를 그린 휴먼 액션 시리즈다.
한편 덱스터스튜디오의 자회사 라이브톤은 '무빙'으로 디즈니+ 작품을 처음 담당하게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BS 연예뉴스 | 김지혜 기자] 강풀 원작 웹툰 '무빙'이 글로벌 OTT 시리즈로 재탄생해 새롭게 돌아왔다.
VFX·콘텐츠 제작 전문기업 덱스터스튜디오는 디즈니+의 오리지널 시리즈 '무빙'의 영상과 음향 기술에 참여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회사는 VFX(시각효과)와 DI&DIT(디지털 색보정 및 디지털 이미징 테크니션)로 영상 부문을, 자회사 라이브톤은 음향 부문을 각각 맡았다.
스튜디오앤뉴와 미스터로맨스가 공동 제작한 '무빙'은 초능력을 숨긴 채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과 아픈 비밀을 감춘 채 과거를 살아온 부모들의 이야기를 그린 휴먼 액션 시리즈다. OTT 콘텐츠 '킹덤 시즌2'와 영화 '특별시민'으로 호흡을 맞춘 박인제, 박윤서 감독이 공동 연출했고 웹툰 원작자 강풀 작가가 극본까지 작업해 더욱 화제를 모았다.
어떤 상처도 금세 회복하는 무한 재생능력을 가진 장주원 역은 배우 류승룡, 초인적인 오감을 지닌 능력자 이미현은 한효주, 비행 능력을 지닌 김두식은 조인성, 전기 능력자 전계도는 차태현, 초능력자들을 쫓는 미스터리한 인물 프랭크는 류승범이 연기해 초호화 캐스팅으로 시선을 사로 잡았다.
음향을 맡은 라이브톤 강혜영 사운드 수퍼바이저는 "무빙은 초능력자들이 모여 비행, 총격, 전투 등 긴박감 넘치는 액션이 많은 작품"이라며 "총 20회로 이뤄진 스토리와 각 사건별 상황에 따라 음향 효과를 다양하게 설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능력자들이 전기 스파크를 내뿜으며 전투를 벌이는 장면에는 고주파 같은 짜릿한 음향을 덧입혀 시각과 청각적 분위기가 일치되게 만들었다"며 "또 공중 비행 능력을 지닌 인물의 비상 장면과 오감을 표현하기 위한 사운드 디자인에 입체적인 음향을 사용해 차별성을 두기도 했다"고 밝혔다.
영상 색보정을 작업한 덱스터스튜디오 김일광 컬러리스트도 기술 설정의 과정을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한국, 중국, 러시아 등 여러 국가들이 사건 배경으로 설정돼 문화적 특색이 드러나는 이미지 톤 작업이 이뤄졌다"며 "과거와 현재가 교차 묘사되는 장면도 다수 이어져 그 분위기를 담는 디테일에 집중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과거 시점인 장면은 영상의 색감을 톤다운 시켜 어둡고 두려운 분위기를 강조했다"며 "일부 장면에서는 주인공들이 등장할 때 간판과 네온사인 불빛이 은은하게 비춰지도록 화면 전체를 푸른 색으로 컬러 그레이딩해 공간감을 더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덱스터스튜디오의 자회사 라이브톤은 '무빙'으로 디즈니+ 작품을 처음 담당하게 됐다. 라이브톤 최태영 대표는 "글로벌 기업이 투자한 대규모 프로젝트 참여로 새로운 레퍼런스 경험이 추가돼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이색적 사운드를 활용하는 개성 넘치는 장르물 콘텐츠가 제작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전했다.
앞서 글로벌 컨설팅업체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글로벌 OTT 시장이 2018년 760억달러(100조 1,072억원) 규모에서 2020년 들어 1100억달러(144억 8,700만원)으로 확대됐고, 2022년에는 1410억달러(185조 6,970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한국딜로이트그룹 역시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시장 성장 동인과 경쟁우위 확보 요건' 리포트를 발간하며 글로벌 M&E 시장 규모가 2022년 2조5,000억 달러에서 매년 9.5%씩 성장해 2032년 6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시장 성장 요인으로 OTT 고부가가치 콘텐츠 확보 경쟁, 소셜미디어(SNS) 확장, 팬덤 형성 등을 꼽으며 OTT 사업자들의 사업 확대 방향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