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ageism to eldernomics to returnship (KOR)

2023. 8. 10. 1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Just in time, the book "Super Age" by demographic futurist Bradley Schurman offers a refreshing perspective. He claims that an aging society will be an opportunity, not a crisis. But first, he cites the need to overcome ageism. Only then can "elderomics" — led by the elderly in labor and consumption — settle. In the book, there are many ideas to listen to, such as expanding "returnship."

1969년 미국의 노인의학 전문의 로버트 버틀러는 이런 현상을 에이지즘(Ageism, 연령차별)이라고 정의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 politician should put the brain to work on something like this, not on simply calculating votes.

JANG WON-SEOKThe author is a stock market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Everyone ages. Body function gradually declines. It is not anyone’s fault, but sometimes, one may be mocked for being old. It is not uncommon to be a victim of certain discrimination.

American geriatrician Robert Butler defined this as “ageism” in 1969. It refers to a stereotyping based on age or a clannish attitude towards a certain age group.

Ageism does not necessarily refer to old age. In a broad sense, it is about discrimination based on age. “Choding” in Korean, which refer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Gen MZ often have a derogatory tone.

It is commonplace and deep-rooted. Just like gender and racial discrimination, one may engage in an act of promoting or condoning discrimination without realizing. That’s why we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Kim Eun-kyung, chair of the Democratic Party’s innovation committee, was under fire for saying, “We should give people voting rights in proportion to the time left until their death.” She said she just mentioned what her son suggested. But since she said it was reasonable and correct, she seems to support the idea. Rep. Yang Yiwonyoung helped out and said, “Many people who are voting now won’t be alive in the future.” That is more terrible. The comment contains her mindset of calculating the age and headcount only for votes.

What is even more surprising is the laid-back attitude towards the keyword of age. The share of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n Korea will exceed 20% in two years, which will make it a super-aged society.

Korea is being headed to the world’s oldest country. Not only economic growth but also labor, pensions and medical care are on the verge of shaking the entire national system. Nothing is easy. But if you leave it unattended, it will be an immense burden for the next generation.

Just in time, the book “Super Age” by demographic futurist Bradley Schurman offers a refreshing perspective. He claims that an aging society will be an opportunity, not a crisis. But first, he cites the need to overcome ageism. Only then can “elderomics” — led by the elderly in labor and consumption — settle. In the book, there are many ideas to listen to, such as expanding “returnship.”

If you are worried about the future generation for real, please read books and study. A politician should put the brain to work on something like this, not on simply calculating votes.

에이지즘(Ageism·연령차별) 장원석 증권부 기자

누구나 늙는다. 몸기능이 조금씩 떨어진다. 죄도 아닌데 때론 조롱대상이다. 구체적 차별의 피해자가 되는 일도 드물지 않다. 1969년 미국의 노인의학 전문의 로버트 버틀러는 이런 현상을 에이지즘(Ageism, 연령차별)이라고 정의했다. 나이에 근거한 고정관념이나 특정 연령층을 향한 배타적 행위를 가리킨다.

에이지즘은 꼭 나이듦을 가리키진 않는다. 넓은 의미에서 연령차별 그 자체다. ‘초딩’이나 ‘MZ세대’에 담긴 비하의 의미가 그 예다. 그만큼 일상적이고, 뿌리도 깊다. 성차별이나 인종차별이 그렇듯 모르는 사이 차별을 조장 또는 묵인하는 행위를 할 수 있다.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이유다.

“자기 나이로부터 여명까지 비례적으로 투표해야 한다”는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의 발언은 그래서 비난받는다. 아들의 아이디어를 소개한 것이라 해명했지만 ‘합리적’ ‘맞는 말’이라고 스스로 평가한 걸 보면 영 마음에 없는 소리는 아닌 모양이다. 도울 요량으로 나선 양이원영 의원의 “지금 투표하는 많은 이들이 미래에 살아 있지도 않을 사람”이란 발언은 더 끔찍하다. 연령과 머릿수를 그저 표로만 계산하는 평소사고가 녹아 있다.

더욱 놀라운 건 나이란 키워드를 대하는 한가한 인식이다.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비중은 2년 뒤 20%를 넘어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종착지는 세계 최고령 국가다. 경제성장은 물론 노동∙연금∙의료 등 공들여 구축한 나라체계가 통째로 흔들릴 위기다. 어느 하나 쉬운 게 없는데 그냥 두면 모두 다음 세대의 짐이다. 미래세대의 투표권까지 걱정하는 이들이 정작 발등에 떨어진 불은 보지 못하는 모양이다.

마침 인구학자 브래들리 셔먼이 쓴 책 『슈퍼 에이지 이펙트』가 화제다. 고령사회가 위기가 아닌 기회가 될 거란 발상의 전환이 신선하다. 그는 전제조건으로 에이지즘 극복을 꼽는다. 그래야 노동∙소비 등을 노년층이 주도하는 ‘엘더노믹스(eldernomics)’가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리턴십(Returnship) 확대' 등 경청해야 할 아이디어가 적지 않다. 진짜 미래세대가 걱정된다면 책도 보고, 공부도 좀 하길 바란다. 정치인이라면 이런 데 머리를 굴려야 한다. 수 얕은 표 계산이 아니라.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