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음악 듣지 마, 같이 뛰자! 뜨거운 기억들이 남을 수 있게[차트 밖 K문화]
음원 TOP 100 차트인, TV 화제성 순위…. 매일 같이 쏟아지는 기사 제목입니다. 시선에서 자유로울 것 같은 예술계도 성공의 기준은 꽤 명확한 편입니다. 그럼 당장 순위권에 없는 이들은 어떨까요? ‘차트 밖 K문화’는 알려졌지만 알려지지 않은 이들의 이야기를 들려드리는 연재물입니다. 유치할지라도 대놓고 진지하게, 이 시대 예술가들의 철학을 소개합니다. |
“저 사실 토하고 왔어요.”
드러머 준현(35)이 말했다.
“전 사실 한 시간도 못 잤어요.”
보컬 호정(38)이 말했다.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아디오스 오디오는 2016년 펜타포트 무대에 오를 ‘뻔’했다. 록 신진 뮤지션을 발굴하고 일부 팀에게 무대 출연 기회를 주는 ‘펜타 슈퍼루키’에 지원했었다. 밴드를 결성하자마자였다. “일단 부딪혀보자”는 마음 하나로 나섰는데, 성적이 좋았다. 동상이었다. 비록 무대에는 서지 못했지만. 그로부터 7년이 지난 올해, 이들은 “대한민국 록 밴드라면 절대적 로망”이라는 펜타포트 무대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꼭 펜타포트여서 격양됐던 건 아니었다. 이 밴드의 체질이 그렇다. 밴드의 이름을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다. 작별을 뜻하는 스페인어 ‘Adios’와 녹음이란 뜻을 가진 영어 ‘Audio’. 합치면 “안녕, 오디오”다. 이는 음원을 통해서가 아니라 라이브 공연을 통해 많은 사람을 만나겠다는 밴드의 바람을 상징한다. 그만큼 이들은 무대를 갈망한다.
호정은 무대에 오르는 순간 생각한다. “지금부터 여긴 우리 구역”이라고. 준현은 드럼 스틱을 잡으며 생각한다. “이 무대가 마지막일 수 있다”고. 대부분의 뮤지션이 최선을 다하겠지만, 이들은 이름을 내건 만큼 조금 더 열정적이다. “무대가 끝난 후 기어 나오거나 죽거나 둘 중 하나”라고 말할 정도. 그래서인지 이들은 페스티벌 무대도, 연합공연도 아디오스 오디오의 단독 공연처럼 느낀다고 했다.
에너지를 보여 드리고 싶어요. 그게 가능한 건 라이브밖에 없어요. 아무리 음원이 좋아도 그건 정제되어 있잖아요. 이 마음을, 이 음악을 위해 쏟은 저희의 감정을 전달하고 싶어요.
아디오스 오디오는 자신들의 음악을 ‘감성적인 음악’이 아닌 ‘감정적인 음악’으로 규정한다. 우선 본인들이 감정에 충실하다. 이들 모두 무대에 섰을 때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다. 노래에 빨리 스며들어 내면에서 올라오는 감정을 느낀다”고 했다. 실제 호정은 노래하고 녹음하며 자주 운다. 곡마다 사연이 있어서다.
●데뷔곡-밤밤밤
“가난하고 누추했던 날이에요. 새벽에 술을 마시면서 웃던 중이었어요. 문득 이 밤이 끝나지 않았으면 좋겠더라고요. ‘아, 나 행복할 수 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렇다면 누군가들도 이 밤을 행복해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이어지더라고요. 그렇게 시작된 곡이에요.”
●인기곡-끝없이 우리는
“과부하가 걸렸을 때였어요. 업무가 아닌 일로 비행기를 타본 적이 없더라고요. 그래서 호재와 제주도 항공권을 끊었어요. 그런데 지하철 안에서 일을 하다가 비행기를 놓친 거예요. 돌아오는 길에 둘이서 엄청 울었어요. 뒤돌아 그때 생각을 해보니 ‘속상했던 일이 있어서 지금이 더 신나고 행복하구나’, ‘청춘이 쌓여가는 게 이런 거구나’ 싶더라고요.”
●최신곡-핑
“작년까지 우울증과 공황장애가 심했어요. 위험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이런 기분을 더 이상 느끼고 싶지 않았어요.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이니 ‘이 노래를 듣고 같이 감정을 토해냈으면 좋겠다’, ‘박박 긁어서 쏟아졌으면 좋겠다’하는 마음으로 썼던 곡이에요.”
이런 호정의 감정을, 호재와 준현도 느낀다. 준현은 올 4월부터 팀에 합류한 새 멤버지만 “벌써 10년은 같이 한 사이 같다”고 말할 정도로 금세 동화됐다. 합류를 제안받을 당시의 식사 자리를 떠올리며 “제육볶음이 이렇게 무섭다”며 장난치면서도 “팀 활동을 하며 많이 밝아졌다”고 말한다. 오랜 시간 호정과 함께해온 호재는 두말할 것 없다. 이들은 그리 모인 셋의 에너지가 관객에게 가닿길 바란다. 호정은 감정선을 더 잘 전달하기 위해 가사를 쓸 때 한글을 고집하고 있기도 하다.
무대가 끝나갈 즈음, 아디오스 오디오가 건네는 말이 있다.
“살다가 조금은 지치는 날들이 있겠죠? 그때 오늘의 이 뜨거운 기억들이 생각나서 조금이나마 힘이 되었으면 해요.”
이 말은 관객을 향한 말이면서 동시에 밴드 스스로에게 하는 말이다. 호정은 혼자가 싫어 밴드를 시작했다. 그래서 듣는 이들도 혼자가 아니었으면 한다. “음원은 혼자 듣는 경우가 많으니, 라이브 무대를 경험하면서 친구들을 만나 함께 공감하고 위로하셨으면 한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밴드와 관객은 오늘을, 또 서로를 떠올리며 이렇게 추억하지 않을까.
“아 진짜 뜨거웠다!”
김태언 기자 bebor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남 길거리서 흉기에 목 찔린 여성 사망…“칼부림 사실 아냐”
- 한반도 상륙한 태풍 ‘카눈’…도로침수-정전 등 피해 속출
- 제주 ‘임신부 먹튀 가족’ 음식값 계산했었다…“직원 실수”
- 박수홍 막냇동생 입 열었다…“큰형에게 동생들은 착취 대상”
- 국대 출신 여자 유도선수, 파도 휩쓸린 70대 구해…“망설임 없었다”
- 폭우에 솟구쳐 오른 맨홀 뚜껑…시내버스 바닥 뚫고 ‘쾅’
- 블랙핑크 춤 배우고 한강서 댄스…“잼버리 취지인 ‘행복하기’ 달성”
- “뉴진스 광팬인데 단복 좀”…잼버리 K팝 콘서트 위장진입 시도 논란
- 부안군의회, 잼버리 파행에도 ‘크루즈 연수’ 가려다 결국 취소
- 檢, ‘입시 비리’ 조민 기소…허위작성공문서행사 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