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단체여행 한국 러시, 인바운드 1.5배 커진다

2023. 8. 10. 09: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정부가 한국행 단체 관광을 허용키로 함에 따라 올 하반기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유커:游客)들이 급증할 전망이다.

10일 중국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문화여유부는 이르면 이날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 대한 자국민 해외 단체관광을 허용한다는 내용의 발표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중국 이외의 많은 나라 관광객들은 유커들이 단체로 시끄럽게 하지 않고,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일이 줄어들어 한국 여행 하기 좋아졌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한령 전 유커비중 최고 47%
정점 806만, 한한령 후 602만
타국 방한 감소 ‘풍선효과’ 우려도
경계심 유발 中전담여행사 부활 안된다
한한령 이전 중국단체 관광객들의 고궁 방문 모습

[헤럴드경제=함영훈 선임기자] 중국 정부가 한국행 단체 관광을 허용키로 함에 따라 올 하반기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유커:游客)들이 급증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다른 나라에 비해 회복이 더뎠던 한국 관광산업의 부활이 기대되고 있다.

10일 중국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문화여유부는 이르면 이날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 대한 자국민 해외 단체관광을 허용한다는 내용의 발표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외교부도 최근 한국과 일본 외교당국 측에 자국민의 단체관광을 허용하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지난 2017년 한국내 사드(THAAD:고고도 지역방위체계) 배치를 계기로 중단(관광 한한령)된 중국 단체 관광이 6년 여만에 재개될 전망이다.

▶인바운드 관광규모 1.5배 확대 기대=관광업계가 중국 정부의 한한령 해제에 기대감이 커진 것은 한한령 직전 유커들이 인바운드(방한 관광)의 40%를 안팎을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 1위였기 때문이다. 이들이 다시 한국을 찾을 경우 회복이 더뎠던 관광 업계에 단비가 될 수 있다.

실제로 한한령 이후 유커의 한국 방문이 급감했고, 올해 6월 방한 관광객 중 유커가 차지한 비중도 17%에 불과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방한 유커는 ▷2014년 616만명 ▷2015년 598만명 ▷2016년 806만명 ▷2017년 417만명 ▷2018년 602만명 ▷코로나 직전인 2019년 550만명이었다. 2017년부터 반토막으로 곤두박질쳤지만, 단체관광으로 한국에 오려던 사람들 중 일부가 개별여행으로 전환해 방한하면서 정점의 70% 수준까지 회복됐었다.

현재 집계가 완료된 6월만 중요 시기별로 비교하면, 올 6월 방한객 1위는 일본 19만6512명, 2위 중국 16만 8035명, 3위 미국 12만1378명, 4위는 대만 9만7365명이었다. ‘빅4’는 늘 변함없었다.

한한령이 시행되던 코로나 직전인 2019년 6월엔 중국 47만5007명, 일본 28만2476명, 대만 11만8437명, 미국 10만5398명이었다.

한한령 직전인 2016년 6월엔 중국 75만8534명, 일본 18만192명, 미국 8만8276명, 대만 8만7722명이었다.

전체 방한객 수 대비 유커 비중 역시 2014년 43.3%, 2015년 45.2%, 2016년 46.8% 등으로 매년 늘다가 2017년에 31.3%로 30%대로 주저 앉았다. 이후 다소 회복돼 2018년 39.2%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올해 상반기에 12%에 불과할 정도로 비중이 낮아졌다.

이에 따라 유커의 방한이 2016년 수준으로 정상화될 경우 국내 인바운드 관광산업 규모는 지금의 1.5배 가량 확대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예상이다.

한한령 해제로 기대되는 유커의 방문은 6월 현재 방한 관광객 1위인 일본(19만 5612명)의 4배 가량인 70여 만명이며, 이는 연간 806만명을 기록한 2016년과 비슷한 수준이 된다. 이 경우 인바운드 관광시장 규모도 현재의 1.5배 가량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

▶기회와 함께 일부 부담도=업계에선 한한령이 발령된 지난 2017년에 비해 지금 K-컬처의 위상이 높아진 상황에서 한한령 해제는 국내 관광업계 부활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부 낙관론자들에게서는 6년 전 이상으로 유커들이 방한 러시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읽힌다.

다만 사드 사태와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어두운 터널’을 지나오면서 국내 인바운드 랜딩사(중국 전담 여행사) 시스템이 붕괴됐다는 점은 다소 부담이다.

이와 함께 한쪽이 부풀면 다른 쪽은 수축되는 ‘풍선효과’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중국의 한한령 시행 후 한국 관광분야 민관은 시장 다변화 전략에 집중해 그동한 한국에 덜 오던 동남아, 중동, 대양주, 유럽 지역 손님들을 끌어모으는데 성공했다. 한한령 지속 상황에서도 지난 2019년 방한 관관객이 1750만명이라는 신기록을 세웠던 이유도 이같은 노력의 일환이다.

당시 중국 이외의 많은 나라 관광객들은 유커들이 단체로 시끄럽게 하지 않고,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일이 줄어들어 한국 여행 하기 좋아졌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 따라서 중국 관광객의 급증은 다른 나라 여행객의 부분적 감소를 감수해야 할 수도 있다.

특히 다른 나라 여행객들에게는 전담여행사를 두지 않고, 유독 중국만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이 운영하는 중국전담여행사를 두도록 한 것에 대해 타국의 불만이 적지 않았다. 한한령 해제가 이전과 비슷한 형태의 중국전담여행사 부활로 이어져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abc@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