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기전세 살았던 10명 중 7명 '내 집 마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프트(SHift)'라는 브랜드로 알려진 서울시 '장기전세주택'에서 퇴거한 사람 10명 중 7명은 내 집 마련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장기전세주택 공급 16주년을 맞아 입주민을 대상으로 패널조사를 한 결과 입주민 가운데 자녀를 동반해 사는 비율은 70.6%, 평균 가구원 수는 3.56명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市 "무주택자 주거 사다리 역할"
‘시프트(SHift)’라는 브랜드로 알려진 서울시 ‘장기전세주택’에서 퇴거한 사람 10명 중 7명은 내 집 마련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장기전세주택 공급 16주년을 맞아 입주민을 대상으로 패널조사를 한 결과 입주민 가운데 자녀를 동반해 사는 비율은 70.6%, 평균 가구원 수는 3.56명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전체 임대주택의 평균 가구원 수보다 1.24명 많다. 장기전세주택에서 퇴거한 이후 자가를 마련하는 비율은 70%로 집계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무주택 시민을 위한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가구원 수가 평균을 웃도는 것도 장기전세주택이 아이를 키우는 데 좋은 여건을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장기전세주택은 오세훈 시장이 2007년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도입했다. 서울 강서구 발산2단지를 시작으로 성북구 래미안길음센터피스(사진) 등 지난 16년간 총 3만3973가구가 공급됐다. 유형별로는 △건설형 3만175가구 △매입형 3798가구(재건축·재개발 등)다. 주로 중대형 임대주택(59㎡, 85㎡, 115㎡)을 중산층과 무주택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제공한다. 임대료를 보증부 월세가 아니라 장기 전세로 납부하는 게 특징이다. 기본계약 2년이며, 재계약으로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임대료는 주변 전세 시세의 80% 이하 수준이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역세권 장기전세, 상생주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장기전세주택을 공급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장기전세주택 거주자의 솔직한 경험담과 주거 만족도 등을 공유하기 위해 공모전을 진행할 예정이다. 주제는 ‘장기전세주택으로 바뀐 나의 일상, 가족의 풍경’이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대 경제학부 신입생마저도 처음…이게 현실입니다"
- "국민연금 일찍 받겠다"…80만명 속출 이유 알고보니
- "설마설마했는데, 이런 일이"…중국서 퍼지는 'D의 공포'
- "이거 돈 되겠네" 투자 열풍…뭉칫돈 10조 넘게 몰렸다
- "폴로 셔츠 사려고 美 공홈 들어갔더니…" 직구족들 '당황' [양지윤의 왓츠in장바구니]
- '잼버리 K팝 콘서트' 뉴진스·있지 등 18팀 참여…BTS는 불참
- "주호민 아들 상처받을까 걱정…" 특수교사 역고소 안한다
- "술 안 마신다고요"…성희롱 폭로 영상 올린 여성 알고 보니
- 피프티-소속사 조정 불발…법원 "16일까지 오해 풀라" 권고
- '2조원' 로또 주인공 나왔다…美 '메가밀리언스' 역대 최고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