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사장 장막에 가려진 원가절감·속도전·미숙련 ‘부실시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너진 주차장 바로 위는 입주하면 우리 딸이 놀았을 놀이터가 들어설 자리였어요. (입주 전 주차장 붕괴) 사고가 나지 않았다면 부실 시공도 모른채 살았을 겁니다."
지난 4월 공사 진행 중 주차장 붕괴 사고가 난 인천 검단 안단테 아파트 입주 예정자인 어광득씨는 9일 심상정 정의당 의원과 민주노총 건설노조가 국회에서 연 '긴급 아파트 안전진단 현장 노동자가 말한다' 토론회에서 "아찔하고 참담한 마음"을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철근 빠진 아파트]
“무너진 주차장 바로 위는 입주하면 우리 딸이 놀았을 놀이터가 들어설 자리였어요. (입주 전 주차장 붕괴) 사고가 나지 않았다면 부실 시공도 모른채 살았을 겁니다.”
지난 4월 공사 진행 중 주차장 붕괴 사고가 난 인천 검단 안단테 아파트 입주 예정자인 어광득씨는 9일 심상정 정의당 의원과 민주노총 건설노조가 국회에서 연 ‘긴급 아파트 안전진단 현장 노동자가 말한다’ 토론회에서 “아찔하고 참담한 마음”을 전했다. 어씨는 “광주 학동 붕괴 사고를 보고서 무리한 공사기간 단축 문제를 알고 있었는데도 우리 아파트가 빨리빨리 올라가기만 바랐던 것이 부끄럽다”고 덧붙였다.
어씨가 입주할 예정인 검단 안단테 아파트는 무량판 구조(기둥이 바로 지붕을 떠받치고 있는 형태)의 철근 누락, 콘크리트 강도 부족 등으로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아파트 91곳을 조사한 결과, 다른 단지 15곳에서도 철근 누락이 발견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현장 노동자와 전문가들은 입주 예정자조차 알기 어려운 ‘공사장 울타리 안’의 부실공사 관행과 구조적 해법을 짚었다.
29년째 레미콘 노동자로 일하는 김봉현씨는 “콘크리트 강도 문제는 대부분 건설현장에 만연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제조 단계에서부터 원가 절감을 위해 시멘트를 덜 넣기도 하고, 건설 현장에선 폐기 처분해야 하는 굳은 레미콘을 쓰거나 폭우가 내려 시멘트와 골재가 분리되어 패이는 데도 타설이 강행된다”고 했다.
무량판 구조 조사에서 드러난 철근 누락은 현장의 속도전 관행, 미숙련 노동과 무관하지 않다. 17년차 철근 노동자 한경진씨는 “도면을 보고 제대로 시공할 수 있는 숙련 철근 노동자가 부족한데 속도전까지 벌어진다”며 “제대로 결합이 안돼 철근이 빠질 것이 분명한 곳을 대충 시멘트로 메우고 지나가는 일도 많다”고 했다.
실제 건설노조가 7~8일 건설노동자 2510명을 대상으로, 무량판 구조 시공에 대한 경험을 물으니 1093명(43.5%)이 ‘무량판 시공현장에서도 빨리빨리 속도전을 강요받는다’ 답했다. ‘시공이 복잡한데 숙련공은 모자르다’고 응답한 이도 735명(29.3%)이었다. 함경식 노동안전연구원장은 “공사기간 단축과 불법다단계 하도급으로 시공 과정에서 이익을 남기려는 구조가 사고의 근본 원인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다.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부실 공사는 막을 수 없고 사고 또한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방송장악용’ KBS·MBC 이사 임명 강행…“보고 절차 없이 밀어붙여”
- 태풍 ‘카눈’ 상륙 임박…중대본, 출퇴근시간 조정 권고
- ‘우당탕’ 잼버리…입국도 안 한 대원 숙소 배정에 빗길 사고까지
- 안성 신축공사장 2명 사망…‘기성건설’ 중대재해 조사
- [현장] 이것은 잼버리 아닌 관광…즐겁고, 아쉽고, 지루하고
- 올해 온열질환자 벌써 2000명 넘어…2018년 이후 최다
- SPC 끼임 사고 반복…“안전수칙·방호장치 제대로 지키고 있었나”
- 34살 암환자, 자기 조의금 기부하고 하늘로…“소아암 아이에게”
- 최근 10년간 대민지원 중 숨지거나 다친 장병 4명 모두 ‘해병대’
- 중증 정신장애인 가족 “‘뭐했냐’ 비난에 고통…국가 책임 강화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