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집값 상승, 소득 증가속도의 2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지역 '가구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이 10년 새 4점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과 비교해 부산에서 집을 사려면 추가로 4년 더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의미다.
PIR은 부산 평균 주택가격을 평균 연소득으로 나눈 것이다.
PIR가 상승한 것은 소득이 느는 속도가 집값이 오르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입 안 쓰고 9.5년 모아야”…10년 전보다 4년치 더 들어
부산지역 ‘가구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이 10년 새 4점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과 비교해 부산에서 집을 사려면 추가로 4년 더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의미다. 특히 부산지역 민간아파트 분양가가 7년 8개월 만에 배나 오른 것으로 파악돼 갈수록 집을 사기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7일 한국주택금융공사(HF) 자료를 보면 올해 2월 기준 부산의 PIR은 9.5점이다. PIR은 부산 평균 주택가격을 평균 연소득으로 나눈 것이다. 9.5점은 가구 소득을 10원도 사용하지 않고 9.5년간 모아야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10년 전인 2013년 2월에는 PIR이 5.37점이었다. 가구 소득을 모두 쏟아부어도 집을 살 수 있는 기간이 10년 새 4년가량 늘어난 셈이다. HF 통계가 디딤돌대출(주택가격 최대 6억 원)과 보금자리론(〃 9억 원) 이용자 자료를 기초로 하는 점을 고려하면 ‘현실의 PIR’는 더 높을 수 있다.
PIR가 상승한 것은 소득이 느는 속도가 집값이 오르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HF는 PIR 산출 근거를 공개하지 않지만, 한국부동산원과 통계청 자료를 보면 PIR 상승세와 유사한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통계청 조사 결과 2022년 부산의 연간 가구 소득은 5679만 원이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7년(4946만 원)보다 733만 원(14.8%)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부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매해 12월 기준)은 2억9512만 원에서 4억35만 원으로 1억523억 원(35.6%) 올랐다. 집값이 크게 오를 때 월급은 ‘찔끔’ 인상돼 부산시민의 내 집 마련 꿈이 점점 더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최근 고금리와 공사비 급상승으로 더욱 굳어지는 분위기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부산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를 보면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15년 10월 3.3㎡당 1026만9000원에 그쳤다. 그러나 올해 6월에는 2095만1700원으로 치솟았다. 7년 8개월 만에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가가 배가량 올랐다. 서울(65.6%)과 전국 평균(83.7%) 상승률보다 오름세가 가파르다. 영산대 서성수 부동산대학원장은 “국내외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당분간 소득이 많이 늘어날 요인은 보이지 않는다. 분양가와 실제 경제 상황과의 괴리가 커진다면 미분양 사태로 이어져 앞으로 전체 부동산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