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4년 전 잼버리 사태 예견 “악취로 국가신뢰도 하락…매립지 특성상 더위 취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4년 전 보고서에서 이미 '잼버리 사태'를 예견한 것으로 7일 확인됐다.
지난 2019년 새만금개발청이 작성한 '2023년 세계잼버리 준비 및 새만금 투자 활성화' 보고서 총평에는 "악취 등으로 인한 국가의 신뢰도가 하락하지 않도록 관리 부분도 미국처럼 전문요원을 배치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샤워시설 및 화장실 등 위생시설도 미국 수준 이상으로 설치가 필요하다"고 적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9년 작성 “미국, 전문 청소인력 있어 냄새 전혀 안 나”
“위생시설 미국처럼 전문요원 배치하여 운영할 필요있어”
“매립지 특성상 수목 없어…더위 피할 쉼터·그늘막 조성”
잼버리 우려 그대로 예견·보고 했지만…대책 없이 현실화
정부, 긴급 예비비 편성했으나 떨어진 국격 수습 어려워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정부가 4년 전 보고서에서 이미 ‘잼버리 사태’를 예견한 것으로 7일 확인됐다. 화장실 등에서 악취가 날 수 있고, 이로 인해 대한민국 국가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내용이 요지다. 이를 막기 위해 전 개최지인 미국 수준으로 위생시설을 갖춰야 한다는 시사점도 보고서에 포함됐다. 매립지 특성상 폭염에 취약하고, 그렇기 때문에 쉼터 조성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담겼다.
그러나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는 제대로 된 대처 없이 진행됐고, 보고서 우려는 예언처럼 맞아떨어졌다. 외신에선 우리나라 잼버리를 두고 ‘보건 위협’이라고 칭했다. 정부는 수습을 위해 부랴부랴 예비비를 편성했지만, 이미 영국·미국 등 주요 참가국이 떠난 시점에서 성공적인 개최로 사태를 반전시키긴 어렵다. 전북도·여성가족부 등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정부 책임이 막중한 셈이다.
지난 2019년 새만금개발청이 작성한 ‘2023년 세계잼버리 준비 및 새만금 투자 활성화’ 보고서 총평에는 “악취 등으로 인한 국가의 신뢰도가 하락하지 않도록 관리 부분도 미국처럼 전문요원을 배치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샤워시설 및 화장실 등 위생시설도 미국 수준 이상으로 설치가 필요하다”고 적혔다.
미국 현지 상황도 자세히 서술됐다. 보고서는 “위생시설 1개에 화장실 8개, 샤워부스 6개가 있어 총 화장실 2688칸, 샤워부스 2016칸을 보유했다”며 “전문 청소인력을 배치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해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매립지 특성상 폭염에 취약하다는 점도 담겼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여름철은 온도와 습도가 높고, 매립지 특성상 수목 등이 없는 벌판에 있어 참가자 안전을 위해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그늘막과 내부 쉼터 등 조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4년 전에 이미 이러한 지적이 있었으나 보고서가 우려한 내용은 그대로 현실화됐다. 4년 동안 제대로 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셈이다. 일부 참가자는 BBC방송에 대한민국이 잼버리를 ‘생존 미션’으로 바꿨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영국, 미국 등이 철수하며 파행이 빚어졌다.
한 영국 여성은 BBC 인터뷰에서 “내 딸은 지금 같은 더위는 예상하지 못했다”며 “텐트가 너무 뜨거워 열을 식힐 수도 없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샤워실, 화장실에서는 떠다니는 쓰레기와 머리카락이 배수구를 막고 있었다는 딸의 말을 전했다.
폭염으로 인한 사고도 있었다. 잼버리 현장에서는 지난 2일 개영식에서만 100명 넘는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결국 영국과 미국 대표단은 일정을 마치지 못하고 조기 퇴영했다. 행사 진행 수준이 최악으로 치달으면서 결국 중앙정부가 전면에 나섰지만, 사태가 수습될지는 미지수다.
중앙정부는 지난 4일부터 전면에 나서서 잼버리 행사를 책임지기로 했다. 이제까지는 전라북도가 주도하고 중앙정부는 행정·재정적 지원을 해왔다.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예비비 69억원을 의결했고, 행정안전부도 특별교부세 30억원을 긴급 지원했다.
냉장냉동 탑차 10대, 대형선풍기 200대, 임시 물놀이장 및 물터널 5개소가 새로 마련됐다. 기존 4대였던 적십자 버스(대당 휴대용 침대 10개)는 9대로 늘어났고, 254대의 쿨링버스(냉방버스·대당 40명 수용)가 추가 투입됐다. 그늘 쉼터 확대를 위한 위장막 및 캐노피도 64개가 설치됐다. 기존 70명이던 화장실·샤워장 청소 인력은 894명까지 늘어났고, 청소 횟수도 확대됐다. 이동식 화장실은 62동이 추가 설치됐다. 이 같은 대책에도 이번 행사가 최악이란 평가를 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th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서준 무대인사서 팬 머리띠 거부…태도 논란
- [영상] “꺅!” 비명에 우왕좌왕…신논현역 테러 신고, BTS 외국팬 환호성 탓?
- 임영웅, 다이어트 근황 셀카…"많이 말랐네"
- “30㎝ 회칼 들고다니는 23살 배달원” 서현역 칼부림男 자기소개글
- 아이유 "간첩·표절 루머 유포자 형사 고소…끝까지 추적"
- “아파트 판 돈으로 에코프로 150층, 용기 주세요”…한 개미의 절규 [투자360]
- “잼버리 女샤워장 침입한 태국男, 발각되자 머리에 물 묻히는 시늉”
- 김은경 아들, 시누이 폭로글 반박 “거짓 선동으로 가족 공격 멈추길”
- "너도 책임져라"…주호민 짝꿍 침착맨에 연대책임 요구
- 1등 당첨금이 무려 2조원…석달째 쌓인 당첨금 누가 가져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