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빠진 아파트] “수익 악화 속 정부 규제까지”... 건설업계, 잇단 악재에 ‘비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건설업계가 최근 철근누락 사태로 '정부 규제' 리스크까지 덮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특히 이달 말 여러 건의 정부 조사 결과가 발표되면, 손해 및 손실 비용 청구 등에 따른 직접적 비용 발생은 물론 '평판 하락'으로 인해 경영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여기에 LH 발주 공공주택에서 '철근누락'이 발생하면서 전수 조사를 벌인 데 이어, 이달 말까지 민간건설사로 그 범위를 확대해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공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분양·PF리스크·공사 원가↑... 시장 환경 녹록지 않아”
“명단 오르면 ‘끝난다’... 평판 리스크 우려 ‘초긴장’”
“최근 한 십년을 기준으로 봤을때 안팎으로 가장 힘든 시기인 것 같습니다. 수익성 회복은 더딘데 부실공사 이슈까지 터진거죠. 저도 한때 현장에 있었던 사람이지만, 부끄럽고 자괴감이 듭니다. 온갖 악재가 다 겹친 느낌이에요.” (대형 건설사에 17년째 재직중인 A씨)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건설업계가 최근 철근누락 사태로 ‘정부 규제’ 리스크까지 덮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특히 이달 말 여러 건의 정부 조사 결과가 발표되면, 손해 및 손실 비용 청구 등에 따른 직접적 비용 발생은 물론 ‘평판 하락’으로 인해 경영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7일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9399가구로 전월(8892가구) 대비 5.7%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21년 10월 이후 최대치다.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에서 회복되고 있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집주인을 못 찾고 있는 아파트들이 많다는 뜻이다.
지지부진한 분양 실적은 건설사 부동산 파이낸싱 프로젝트(PF)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주요 건설사 7곳의 PF 지급보증 규모는 총 14조4147억원(삼성증권)에 달한다. 분양 경기 위축으로 착공, 분양, 브릿지 PF에서 본 PF로의 전환 등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면서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원자잿값 상승 등 공사 원가가 높아지는 것도 수익성에 부담을 주고 있다. 주요 시멘트 회사들이 내달부터 시멘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레미콘업계에 통보한 상태다. 건자재 등 자재비 가격과 인건비가 오르면서 공사비가 급등해 건설사 입장에선 아파트를 지어도 수지타산이 맞지 않은 상황이다. 6월 기준, 건설공사비지수 중 주거용건물 공사비지수는 2021년 1월 123.84에서 지난 5월(잠정) 150.29까지 올랐다.
실제 올 상반기 건설사 실적도 주택사업 실적을 해외사업으로 ‘얼마나 상쇄’했는지 여부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다. 삼성물산, 대우건설, 현대건설은 수익성이 비교적 좋은 해외 사업 덕분에 ‘영업이익 상승’을 달성했고, GS건설 등 주택사업 비중이 큰 곳은 손실을 봤다.
이처럼 대내외 환경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부실공사 문제’까지 터졌다. 건설업계에서는 건설업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잃으면서 참담하다는 반응까지 나온다. 건설사 개별적으로는 이제 ‘평판 리스크’까지 챙겨야 하는 상황이 됐다.
우선 이번 달 안에 국토교통부가 ‘인천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의 후속조치로 GS건설 공사현장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또 2013~2015년 사이에 ‘공공택지 입찰’을 통해 당첨된 업체들을 현재 조사하고 있다. 여기에 LH 발주 공공주택에서 ‘철근누락’이 발생하면서 전수 조사를 벌인 데 이어, 이달 말까지 민간건설사로 그 범위를 확대해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공언했다. 여기에 서울시도 공사현장에 폐쇄회로TV(CCTV)를 설치키로 했다.
실제 건설사에는 요즘 국토교통부와 여러 정부기관에서 요청하는 공문들이 쏟아지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사가 원래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 B2B(기업과 기업간 거래), B2A(기업과 공공기관간 거래)를 다 하기 때문에 정책 등 정부 분위기에도 민감할 수 밖에 없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무엇보다 민간 건설사들은 이달 말 발표되는 ‘철근누락 전수조사 결과’ 발표에 온통 관심이 쏠려 있다. 손실 보상에 따른 재무 상태도 고려해야겠지만, 결국은 행정처분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대외신인도 하락에 따른 수주 경쟁력 저하 등 이른바 ‘보이지 않는’ 리스크가 더 우려된다는 반응이다. 또 다른 건설업계의 관계자는 “(부실공사) 명단에 오르면 투자심리와 신뢰가 악화하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면서 “PF리스크가 큰 상황에서 투자심리 악화는 중견 건설사 등에 더 큰 치명타를 줄 것”이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비자에 급 높인 주한대사, 정상회담까지… 한국에 공들이는 中, 속내는
- 역대급 모금에도 수백억 원 빚… 선거 후폭풍 직면한 해리스
- 금투세 폐지시킨 개미들... “이번엔 민주당 지지해야겠다”는 이유는
- ‘머스크 시대’ 올 것 알았나… 스페이스X에 4000억 베팅한 박현주 선구안
- [단독] 김가네 김용만 회장 성범죄·횡령 혐의, 그의 아내가 고발했다
- 4만전자 코 앞인데... “지금이라도 트럼프 리스크 있는 종목 피하라”
- 국산 배터리 심은 벤츠 전기차, 아파트 주차장서 불에 타
- [단독] 신세계, 95年 역사 본점 손본다... 식당가 대대적 리뉴얼
- [그린벨트 해제後]② 베드타운 넘어 자족기능 갖출 수 있을까... 기업유치·교통 등 난제 수두룩
- 홍콩 부동산 침체 가속화?… 호화 주택 내던지는 부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