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반도체 필수소재인 ‘이것’...98% 생산하는 중국이 틀어쥐었다
중국 상무부 허가 받아야 가능
차세대 반도체시장 지배력 키우고
자원 무기화해 미국 등에 경고장
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지난 1일부터 갈륨과 게르마늄 관련 품목 수출을 통제하는 방안을 시행했다. 관련 품목 30개를 수출하려면 상무부 허가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출 통제를 첨단 산업의 시장 지배력을 키우려는 중국의 전략으로 해석한다. 동시에 자원을 무기화해 전 세계 공급망을 흔들 수 있다는 경고를 보냈다는 것이다.
조은교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은 대규모 생산능력과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레버리지로 활용하는 전략을 함께 사용한다”며 “희토류와 갈륨, 게르마늄 등 원자재에 대한 수출 통제를 확대해 원자재의 전략자산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갈륨이나 실리콘카바이드(SiC)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는 중국이 집중적으로 육성해 온 분야다. 이 분야를 기존에 미국과 한국·대만 등이 주도하는 실리콘 웨이퍼 기반 반도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으로 봤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이 세계 전기차 시장 1위로 자리매김한 흐름과 비슷하다. 북미와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짜여있던 내연기관차 시장에서 중국이 시장을 파고들긴 쉽지 않았다. 중국이 일찌감치 전기차로 눈을 돌린 이유다. 정부가 나서 친환경차 시장을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그 결과 중국 전기차 회사 비야디(BYD)는 지난해 미국 테슬라를 제치고 전 세계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포함) 판매량 1위를 달성했다.
배터리 시장 역시 중국 CATL이 선두를 지키고 있다. 이러한 성공 경험을 반도체 산업에도 적용하는 것이다.
중국은 차세대 반도체를 키우는 동시에 수출 통제 전선을 넓힐 가능성이 크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SiC 소재인 탄화규소 역시 중국 생산량이 약 5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부연구위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첨단 산업 제재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통상 전략이 필요하다”며 “동시에 신소재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기술 분야에서 중국이 시장지배력을 갖출 가능성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카카오 그룹주 와르르 무너지나…증권가도 ‘백기’ - 매일경제
- ‘27.1억원 대박’ 로또 1등, 당첨 지역보니…서울 사실상 없다 - 매일경제
- “하마터면 큰일 날뻔”…강남 고속터미널 흉기소지 20대, 휴대폰 포렌식해보니 - 매일경제
- 한달새 주가 50% 껑충…증권가도 일제히 러브콜, 어떤 종목? - 매일경제
- “5천만원이 통장에?” 잘못 들어온 남의 돈, 슬쩍 탕진한 40대 - 매일경제
- “앗 주택가에 멧돼지가”...주민 물리고 쓰러지고, 대구시 비상 - 매일경제
- [체험기] “더 크니까 왕 귀엽네”…Z플립5 폰꾸미기 해보니 - 매일경제
- 잼버리 위기에 손내민 이재용 “반도체공장 견학, 사원 150명 파견” - 매일경제
- UAE서 또 K원전…10기 수출목표 '순항' - 매일경제
- 최지만과 한 팀된 김하성 “처음에는 얼떨떨했죠” [MK인터뷰]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