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트윈국토 필요성 커지는데 예산은 부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후위기가 현실화되면서 하루라도 빨리 국토와 노후화된 인프라(SOC)를 입체 공간정보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관련 데이터를 융복합해 3차원으로 보여주는 디지털트윈국토를 구축해 위기 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안으로 떠오른 디지털트윈국토를 당장 실현하기에는 활용할 데이터 자체의 정밀도가 낮은데다 기관별로 구축된 데이터의 공유와 활용 기반도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 지적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가 현실화되면서 하루라도 빨리 국토와 노후화된 인프라(SOC)를 입체 공간정보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관련 데이터를 융복합해 3차원으로 보여주는 디지털트윈국토를 구축해 위기 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SOC 노후화로 인해 자연재난과 겹쳐 대규모 참사로 이어지는 일을 막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관리체계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SOC의 '30년 이상 노후화' 비율은 저수지(96%), 댐(45%), 철도(37%), 항만(23%)에 달한다. 지하시설의 노후화는 14.9%에 불과하지만 20년 후에는 63.1%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공간정보는 국가 GIS 정책에 따라 종이지도를 전산화하면서 항공사진, 로드뷰 등 대중화로 이어져 왔다. 편리해지고 관련 업무 효율도 높아졌지만 기후위기로 급격히 늘어나는 재난 안전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하다.
대안으로 떠오른 디지털트윈국토를 당장 실현하기에는 활용할 데이터 자체의 정밀도가 낮은데다 기관별로 구축된 데이터의 공유와 활용 기반도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 지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기반을 다지는 시도는 이뤄지고 있다. LX한국국토정보공사는 지난해 국토교통부로부터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전문 지원기관'으로 지정됐다. 'LX플랫폼'은 3D 시각화와 시뮬레이션 등 디지털트윈의 핵심데이터와 행정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통합 플랫폼으로,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천 모니터링, 도로점용 인허가 등 10개 행정 활용 서비스와 △유동인구·교통량 분석, 토지개발 인허가 등 9개 특화서비스로 구성됐다. 전 국토에 디지털트윈이 확대 구축되면 침수지역 예측이나 해안도로 침하 방지, 화재 예방 등 다양한 국토·도시문제를 시뮬레이션하고 결과를 예측해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LX공사가 구축한 디지털트윈은 전주시를 제외하고는 3D로 시각화한 1단계에 그쳐, IoT 센서로 실시간 정보를 주고받는 LOD 3단계 이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예산 확보와 정책적 지원, LX플랫폼을 활용할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육도 필요하다.
업계에서는 긴축 재정 상황이라고 해도 더욱 커질 재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를 재정비하고 디지털트윈과 같은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난관리시스템 사업을 수년동안 해 온 한 전문가는 “우리나라는 70%가 산지인데 정확한 공간 정보가 없으니 지질정보나 지하수 정보를 활용해 산사태와 같은 재난 상황을 시뮬레이션해볼 수도 없다. 댐이나 하천 관리시스템도 기존 데이터를 활용한 것이어서 정확도가 낮다”면서 “시스템 구축과 함께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고 각 기관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보경 기자 okmu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