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영옥의 말과 글] [315] 사실로 사람을 설득하기 어려운 이유

백영옥 소설가 2023. 8. 5.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대화 중에 상대의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 검색해 자기 생각이 맞는다고 증명하는 사람이 있다. 재밌는 건 그 사람 말이 사실로 확인돼도 상대가 마음을 바꾸지 않는다는 점이다. 인간은 자기 생각이 틀린다는 사실에 저항하기 때문이다. ‘탈리 샤롯’ 같은 심리학자에 의하면 자기 신념과 다른 사실을 발견하면 사람은 원래 생각을 더 강화할 반론을 지어내기도 한다. 이른바 ‘탈진실의 탄생’이다.

팩트는 사람을 쉽게 설득하지 못한다. 종말론을 믿는 사람에게 교주는 우리를 구하기 위해 온 메시아다. 담배의 유해함에 대해 100가지 사실을 열거해도 골초로 100세까지 산 할아버지를 둔 누군가에게는 씨알도 안 먹힌다. 오히려 사람들이 끌리는 건 ‘감정’이다.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면 유창한 팩트 폭격을 펼칠 수 있겠지만 상대를 변화시키기 어렵다.

누군가를 설득하려면 남의 생각을 바꾸는 게 왜 어려운지 알아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서사’ 안에 살고, 그 안경으로 세상을 본다. 그러므로 그를 설득할 수 있는 길은 그의 ‘개인적 서사’에 공감하고, 대리 체험 할 수 있는 이야기를 통해 신념을 흔드는 것이다. 자밀 자키는 ‘공감은 지능이다’에서 “공감은 힘이 센 다른 영장류보다 빈약한 육체를 가진 인류가 장착한 진화의 산물”이라고 말한다. 인간은 다른 영장류에 비해 훨씬 큰 흰자위와 얼굴 근육을 통해 서로의 눈빛과 표정을 보며 마음을 읽는다.

학교 폭력에 관한 뉴스보다 ‘더 글로리’ 같은 드라마를 보는 게 ‘다 싸우면서 크는 거지’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폭력에 대한 감수성을 더 높이는 이유가 뭘까. 사실에 기반한 뉴스가 사람 마음을 쉽게 바꾸지 못하는 건 ‘나한테는 그런 일이 일어날 리 없다’는 뇌의 확증 편향 때문이다. 그러나 ‘이야기’는 ‘간접 체험’을 통해 주인공의 아픔에 가 닿고, 고통에 공감하게 한다. ‘아는 것’과 ‘느끼는 것’은 다르다. 공감하면 반응하고 반응하면 변화한다. 이야기가 사실보다 힘이 더 센 이유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