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국 자금유치전 韓, 대만·日에 밀려

김정환 기자(flame@mk.co.kr) 2023. 8. 4. 1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경·전경련, 자금흐름 분석
외국인 中기업 M&A 투자
2017년 이후 89조 급감
인도·싱가포르 반사이득

미·중 갈등이 촉발된 후 중국을 이탈한 글로벌 투자자금이 인도와 싱가포르로 대거 옮겨간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에는 '피크 차이나론(중국 경제성장 한계)'까지 맞물리면서 중국에 대한 '디리스킹(위험 줄이기)' 추세가 강해지고 있어 글로벌 투자자금이 추가 이탈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반면 한국으로 유입된 자금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탈중국 자금 이동'의 반사이득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매일경제와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의 외국인 투자자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2016년 중국에 1323억달러가 투입됐던 인수·합병(M&A) 자금은 미·중 무역전쟁이 촉발된 이후인 2017~2022년에는 총 644억달러가 유입되는 데 그쳤다. 무려 679억달러(약 89조원)에 달하는 투자자금이 줄어든 셈이다.

반면 같은 기간 인도에는 739억달러, 싱가포르에는 668억달러의 뭉칫돈이 몰렸다. 외국 M&A 투자자금(브라운필드)은 외국인이 현지 기업 또는 시설을 인수하거나 합작하는 형태로 출자된다. 공급망 전쟁 등 미·중 갈등이 심해지며 중국을 빠져나온 자금이 대체 국가로 활발히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에는 M&A 자금이 추가 유입되긴 했으나 외국인이 직접 공장이나 설비에 신규 집행하는 그린필드 투자는 오히려 줄었다. 한국에 유입된 그린필드 자금 규모는 같은 기간 161억달러 줄어든 반면 일본은 166억달러, 대만은 90억달러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는 흐름도 뚜렷하다. 한국수출입은행 통계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대(對)중국 투자는 2011~2016년 228억달러에서 2017~2022년 343억달러로 50.4%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인도·베트남·싱가포르 등 주변국에 대한 투자는 183억달러에서 388억달러로 112.1% 늘어 중국 투자를 추월했다. 이에 따라 리쇼어링 기업에 대한 지원과 반도체 후공정 세제 혜택 등 탈중국 수요를 적극적으로 끌어오는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신흥경제부장은 "첨단산업 육성에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정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