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만명→5만명…中찾는 외국인 여행객 '증발'

한재범 기자(jbhan@mk.co.kr) 2023. 8. 4.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말 국경 빗장 풀었지만
서방 갈등·간첩법 우려 겹쳐
中, 부랴부랴 대책 마련 나서
비즈니스 목적 땐 비자 완화

올해 상반기 중국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이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한 각종 규제를 풀고 국경을 열었지만 외국인 방문객에게 외면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여행사를 통해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5만2000명에 불과했다. 2019년 1분기 370만명에 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 관광 수요가 상당 부분 급감한 셈이다. 특히 중국을 방문한 것으로 집계된 외국인 관광객 중 절반 이상이 미국이나 유럽이 아닌 중국 본토에 근접한 홍콩이나 마카오, 대만에서 온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주요 도시로 범위를 좁혀도 감소세가 뚜렷했다. WSJ는 올해 상반기 베이징과 상하이를 찾은 외국인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전했다. 외국인이 가장 많이 찾는 두 도시도 방문객 감소세를 피하지 못한 것이다.

WSJ는 중국으로 향하는 항공편 부족이 관광 수요 급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다만 그보다 큰 원인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와의 갈등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최근 시행된 반간첩법 개정안에 따라 여행객이 중국 여행을 더욱 꺼릴 수밖에 없게 됐다. 미국 국무부는 중국 본토 여행의 재고를 경고하는 여행경보를 발령한 상태다.

WSJ는 관광객 급감에 따른 관광업 침체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좀처럼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중국에 또 다른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해외 기업인의 입국을 촉진하기 위해 도착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도착비자란 입국 전에 사전비자를 받지 못한 경우 해당 국가에 입국 후 발급받는 비자를 말한다. 지금까지 중국 당국은 '긴급한 경우'에 한해서만 도착비자를 발급했으나 향후엔 발급 요건을 완화하겠다는 것이다. 중국 외교부가 기업 초청장과 증빙 서류를 제시하면 도착비자를 발급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SCMP는 전했다.

또 비즈니스 목적으로 본국과 중국을 왕복해야 하는 경우 비자 유효기간을 3년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중국 체류를 원하는 해외 입국자는 중국 내 체류증이 발급될 때까지 여권을 출입국 당국에 제출해야 하는 의무도 면제된다.

[한재범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