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겠다”vs“사기는 아닐 것”...세계적 논문 감시 사이트도 상온 초전도체 ‘갑론을박’

최정석 기자 2023. 8. 4. 17: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일 과학계에 따르면 논문 부정 감시 사이트 '퍼브피어(PubPeer)'에서 LK-99가 정말로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맞는지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퍼브피어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출판된 논문 속 데이터를 서로 검증하는 해외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다.

그런데 논문 속 내용을 종합적으로 따졌을 때 LK-99를 초전도체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논문부정 감시 전문사이트 퍼브피어서 과학자들 토론 중
연구진 “3번째 논문 심사 중”
꿈의 물질'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한국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둘러싸고 해외 과학계에도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외부의 자성을 밀어내며 자석 위에 떠있는 초전도체 모습. /미국 에너지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상온 환경에서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질인 ‘LK-99′를 만들었다며 논문을 공개한 뒤 세계 곳곳의 실험실에서 이를 검증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해 세계 각국의 많은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논문 부정 고발’ 사이트에서도 LK-99의 진위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4일 과학계에 따르면 논문 부정 감시 사이트 ‘퍼브피어(PubPeer)’에서 LK-99가 정말로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맞는지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퍼브피어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출판된 논문 속 데이터를 서로 검증하는 해외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다. 퍼브피어 이용자들이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한 논문들 중 일부는 학술지 게재가 철회되거나 의도적인 데이터 조작 정황이 들통나기도 했다. 과학계 내부고발이 이뤄지는 온라인 공간인 셈이다.

한국 과학자가 낸 논문도 퍼브피어에 ‘저격’을 당한 뒤 실수를 인정한 일이 있다. 지난 2010년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에 게재된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논문 속 데이터 중 일부가 중복 사용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었다. 이에 백 교수 측은 의혹이 제기된 6개 데이터 중 2개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했다.

현재 퍼브피어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논문은 권영완 고려대 연구교수가 교신저자로 돼있는 LK-99 논문이다. 이 논문은 지난 22일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게재됐다.

부정 논문 감시 사이트 '펍피어(PubPeer)'에 올라온 글. 아카이브(arXiv)에 올라온 상온상업초전도체 LK-99 관련 논문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 적혀있다. /펍피어 캡쳐

이 논문에 대해 한 퍼브피어 이용자는 독일인 과학자가 막스플랑크 고체상태 연구소 연구원들과 함께 논문을 살펴본 뒤 자신의 블로그에 이를 평가한 글을 인용하며 “논문에 담긴 내용을 한 마디도 믿지 않는다”라고 평가했다.

그는 “논문에서는 LK-99 전기 저항값이 0으로 측정됐다며 이를 초전도체라 주장하지만 내 눈에 LK-99는 절연체(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 물질)로 보인다”라며 “(LK-99에)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를 흘렸을 때도 저항값이 치솟거나 파손되지 않는다는 걸 실험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LK-99가 초전도체임을 검증받으려면 자석이 뿜어내는 자기장을 밀어내면서 공중에 떠있는 마이스너 효과가 나타남과 동시에 전기 저항값이 0으로 측정돼야 한다. 그런데 논문 속 내용을 종합적으로 따졌을 때 LK-99를 초전도체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벌써부터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시선도 있었다. 다른 퍼브피어 이용자는 “권 연구교수 이름이 빠져서 나온 또다른 논문에는 기존 논문에 있던 문제점들이 어느 정도 수정돼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LK-99에 대한 연구는 굉장히 진지한 것이고 사기와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이용자는 “연구자들이 어떤 아이디어를 납과 구리를 합쳐 LK-99를 만들게 됐는지, 얼마나 정교한 과정을 통해 물질을 합성해냈는지, 오염 가능성은 없는지와 같은 의문들이 많이 남아있다”며 “논문 내용을 보면 LK-99는 초전도체가 맞는 건 아니지만, 초전도체가 아닌 것도 아닌 상황”이라고 말했다.

LK-99 연구 책임자인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는 김현탁 미국 윌리엄앤드메리대 물리학과 교수를 비롯한 연구진들과 함께 3번째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올린 논문을 한 번 더 보완한 논문은 미국 물리학협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APL 머티리얼즈(APL Materials)’에 제출해 심사가 진행 중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