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온 내성 바지락으로 기후변화 대비한다

윤신영 기자 2023. 8. 3. 20: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바닷물 온도 상승으로 어패류 폐사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수온에 강한 바지락을 찾아내 주목된다.

고수온에 강한 바지락을 활용해 품종 개량을 한다면 고수온으로 인한 바지락 폐사 가능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병두 연구소장은 "여름철 고수온은 바지락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기후 변화에 따라 고수온이 잦아지면 바지락 대량 폐사 피해도 반복적으로 입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남도, 고수온 강한 바지락 개발해 어촌계 등 보급
충남도청 전경. 사진=대전일보DB

기후변화에 따른 바닷물 온도 상승으로 어패류 폐사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고수온에 강한 바지락을 찾아내 주목된다.

고수온에 강한 바지락을 활용해 품종 개량을 한다면 고수온으로 인한 바지락 폐사 가능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일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연구소)에 따르면 기온이 30℃일 때 갯벌 온도는 37-39℃까지 상승한다. 이어 바닷물 온도가 바지락 생존 한계 온도인 30℃를 넘으면 폐사가 급격히 늘게 된다.

충남 서해의 8월 평균 수온은 △2007년 22.4℃ △2012년 27.2℃ △2018년 23.1℃ △2022년 23.5℃ 등으로 상승 추세다.

어민들은 이러한 수온의 상승을 양식장 갯벌 뒤엎기나 종패 및 모래 살포 등 어장 환경 개선으로 바지락 폐사 피해를 근근히 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여름철 고수온기 도내 바지락 폐사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2012년 태안 곰섬 17% △2013년 태안 황도 77.8% △2016년 태안 소근 39.8% △2016년 태안 의항2리 27.4% △2019년 서산 웅도·오지·팔봉 21.6% △2019년 태안·활곡 34% △2019년 황도 31.8% 등이다.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최고점을 갈아치움에 따라 해수 온도도 상승해, 어장 환경 개선만으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연구소는 고수온에 강한 바지락을 선별, 세대 관리를 통한 품질 개량을 진행 중이다.

우선 고수온에 강한 바지락이 많은 6개 시군 30개 양식장을 골라 각 100패 씩 총 3000패 바지락을 채취했다. 이후 수온 변화 대응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개체별 고수온 대응력을 살폈다.

이를 통해 연구소는 황도 양식장 바지락이 고수온에 강한 점을 확인했다.

황도 바지락은 고수온 저항 유전자 발현량이 일반 바지락에 비해 40%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과 2019년 두 차례 대상 폐사가 발생하며 고수온에 강한 유전자를 가진 바지락이 살아남아 번식했기 때문으로 연구소는 추측하고 있다.

올해 연구소는 상반기 황도 바지락 100㎏(7000패 가량)을 확보, 유전자 검사를 통해 고수온에 더 강한 500패를 추렸다.

연구소는 이 500패를 교배해 2세대 바지락을 생산하고, 유전자 검사를 통한 고수온 우성 바지락 선별과 육종을 반복해 고수온 저항성이 강한 종패를 생산, 어촌계 등에 보급할 계획이다.

전병두 연구소장은 "여름철 고수온은 바지락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기후 변화에 따라 고수온이 잦아지면 바지락 대량 폐사 피해도 반복적으로 입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육종을 통해 바지락을 변화한 환경에 적응 가능한 품종으로 개량,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