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은행원 횡령'…7년간 2400억 '꿀꺽'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 경남은행 직원의 수백억 원대 횡령 사고로 부실한 내부통제 시스템이 다시 도마에 올랐습니다.
올해 발생한 금융권 횡령액은 벌써 600억 원에 달할 정도인데요.
박연신 기자, 이번 경남은행 횡령 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뭔가요?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PF 업무에 대한 경남은행의 자체적인 감시와 견제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PF 대출 심사부터 송금, 사후 관리 등이 서울영업부 내 투자금융부라는 사실상 하나의 부서에서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사업장에 대한 대출 신청이 들어오면 심사를 통해 대출을 해줄 것인지 승인하는 '프론트 오피스'와 공사 진행 상황에 따라 총 대출금 등 자금을 보내는 '백 오피스'가 이 한 부서 안에서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562억 원을 횡령한 A씨는 이 부서에서 15년간 일을 했고, 결국 본인이 심사를 하고 대출을 승인해 이같은 사고가 발생한 겁니다.
[앵커]
최근 연이어서 금융권 횡령 사고가 터지고 있죠?
[기자]
이번 경남은행 건을 포함해 금융사 횡령사고는 올해만 11개 회사에서 33건이 발생했는데요.
사고액은 거의 600억 원에 육박합니다.
과거부터 살펴보면, 지난 2017년 144억 7천500만 원을 기록한 뒤 2019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은행에서 700억 원의 대규모 횡령이 적발되면서 지난해만 1천억 원을 웃돌았습니다.
지난 7년간 횡령 사고액은 무려 2,400억 원이 넘습니다.
[앵커]
지난해 금융당국이 내부통제 혁신 방안을 발표했었죠?
[기자]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발표한 내부통제 혁신방안을 살펴보면 금융당국은 장기근무자에 대한 인사관리 체계를 마련하라고 했습니다.
금감원은 올해 은행들에 PF대출 일제 점검을 지시하기도 했는데도 여지껏 이를 걸러내지 못했던 겁니다.
우선적으로는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어떤 업무는 길게 하는 게 필요한 경우도 있거든요. 범죄행위거든요. 범죄를 저지른 부분에 대해서 매우 엄격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의 상시 감독 체계가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박연신 기자, 잘 들었습니다.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