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전 내건 비전 여전히 성과못내···블록버스터 신약·빅파마 ‘0’

임지훈 기자 2023. 8. 3. 1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0년 블록버스터 신약 3개, 글로벌 50대 제약사 2곳, 의약품 해외 수출 23조 원.'

보건복지부는 2013년 7월 이 같은 내용의 비전을 담은 제1차 제약 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13~2017년)을 발표했다.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블록버스터 신약은 물론이고 글로벌 50대 제약사 역시 전무하다.

블록버스터 신약과 의약품 해외 수출 목표는 다소 하향 조정했고 글로벌 50대 제약사 목표는 보다 공격적으로 잡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바이오 미래, 컨트롤타워에 달렸다]
■정부 '장밋빛 청사진' 되풀이
과기부·복지부·산업부 경쟁적으로
공격적인 목표치 제시···성과는 미미
신약개발 전주기 통합지원 외치지만
짜임새 있는 정책 뒷받침 전혀 안돼
이대론 5~10년 후도 목표로 그칠듯
보건복지부 전경. 사진 제공=복지부
[서울경제]

‘2020년 블록버스터 신약 3개, 글로벌 50대 제약사 2곳, 의약품 해외 수출 23조 원.’

보건복지부는 2013년 7월 이 같은 내용의 비전을 담은 제1차 제약 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13~2017년)을 발표했다. 정부가 목표 달성 시점으로 정했던 2020년에서 3년이나 지났지만 성적표는 초라하다.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블록버스터 신약은 물론이고 글로벌 50대 제약사 역시 전무하다. 지난해 의약품 해외 수출액은 81억 달러(약 10조 3307억 원)로 목표인 23조 원의 절반 수준도 되지 않는다.

복지부는 제1차 계획을 발표하고 정확히 10년이 지난 올해 3월 제3차 계획을 발표했다. 블록버스터 신약과 글로벌 50대 제약사를 2027년까지 각각 2개와 3곳, 2030년까지 3개와 5곳으로 늘리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약품 해외 수출액은 2027년까지 지난해의 2배인 160억 달러(약 20조 4192억 원)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 블록버스터 신약과 의약품 해외 수출 목표는 다소 하향 조정했고 글로벌 50대 제약사 목표는 보다 공격적으로 잡았다.

문제는 이런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짜임새 있게 이뤄지고 있느냐는 점이다. 복지부는 2017년 12월 제2차 계획을 발표하며 1차 계획의 한계를 평가했다. 우선 글로벌 제약 산업 육성 펀드 출범 이후 성공 사례가 나오고 있으나 해외 진출에 특화돼 제약 기업이 실질적인 지원을 체감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제약 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추진 과제가 재직자 대상의 단기 재교육 위주로 구성돼 신규 전문인력 양성이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연구개발(R&D) 성과를 제품화로 연계할 수 있는 축적된 역량이 부족하다며 신약 후보 물질 도출부터 비임상·임상 시험 및 제품화까지 유기적으로 연계해 글로벌 신약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복지부가 지적한 문제는 6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한계로 남아 있다. ‘K바이오백신펀드’는 조성부터 차질을 빚고 있고 제약·바이오 기업은 인력난에 허덕이는 모습이다. 특히 중소 업체는 대기업의 인력 빼가기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모든 부처가 필요를 공감하면서도 실제 정책화는 하지 못하고 있는 ‘신약 개발 전 주기 통합 지원’은 업계 입장에서는 아직도 ‘그림의 떡’이다.

상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도 다르지 않다. 과기정통부는 2017년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17~2026년)을 통해 2026년까지 1조 원 규모의 신약 메가 펀드 조성을 통해 블록버스터 신약 5개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크게는 후보 물질-전임상-임상-판매·마케팅으로 이어지는 신약 개발 전 주기를 지원해 바이오의약품 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고 작게는 신약 개발 죽음의 계곡 구간인 전임상 전후 단계에 창업·기술이전과 연계한 R&D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복지부 계획과 수치만 조금 다를 뿐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2026년까지 2년 5개월 정도가 남기는 했지만 블록버스터 신약 5개 창출 등의 목표 달성은 쉽지 않다. 업계는 여전히 후반부 임상과 상품화 단계 지원이 부족하다고 호소한다.

산업부는 지난달 ‘바이오경제 2.0 추진 방향’을 제시하며 2030년까지 ‘바이오 경제 생산 100조 원, 수출 500억 달러 달성,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를 실행 전략으로 내세웠는데 이는 업계가 수십 년 동안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것으로 엄밀히 따지자면 각각 기재부, 복지부 주무 업무에 가깝다.

임지훈 기자 jhlim@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