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워] ‘김장하 선생’ 같은 어른 많아지길

이강은 2023. 8. 3. 00: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며칠 전 넷플릭스에서 본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의 한 장면이다.

갈수록 우리 사회에 귀감이 되거나 귀담아들을 만한 소리를 해줄 어른이 잘 안 보여 걱정하던 차에 제목부터 눈길을 끌었다.

'어른 김장하'는 경남 사천(1963년 개원)과 진주(1973년 이전 개원)에서 60년간 '남성당 한약방'을 운영하면서 지역사회에 헌신해온 한 사람을 조명한 다큐멘터리다.

이를 드러내거나 자랑하지 않고 오히려 냉정할 만큼 말수가 적은 어른이라 한 마디 한 마디가 묵직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생 조건없는 기부… 선한 영향력의 본보기

# 김장하(79) 선생을 위한 깜짝 생일잔치가 열린 2019년 경남 진주의 한 실내 공연장. 문형배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마이크를 잡았다. ‘김장하 장학생’ 출신으로 진주 대아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문 재판관은 “선생님께 고맙다고 인사를 갔더니, ‘나에게 고마워할 필요가 없다. 나는 이 사회에 있는 것을 너에게 주었을 뿐이다. 혹시 (은혜를) 갚아야 한다고 생각하면 이 사회에 갚아라’라고 하셨다”며 목이 메어 말을 제대로 잇지 못했다.

며칠 전 넷플릭스에서 본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의 한 장면이다. 갈수록 우리 사회에 귀감이 되거나 귀담아들을 만한 소리를 해줄 어른이 잘 안 보여 걱정하던 차에 제목부터 눈길을 끌었다. ‘어른 김장하’는 경남 사천(1963년 개원)과 진주(1973년 이전 개원)에서 60년간 ‘남성당 한약방’을 운영하면서 지역사회에 헌신해온 한 사람을 조명한 다큐멘터리다. MBC경남이 제작해 지난해 말과 올 초 방영된 작품이라는 건 넷플릭스에서 시청하고 난 후에야 알았다. 2시간 가까이로 압축된 선생의 삶을 찬찬히 더듬고 나면 ‘정말 이런 어른이 있구나’란 놀라움과 함께 존경심이 절로 든다.
이강은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중학교를 졸업하고 한약방에서 머슴살이를 하던 그는 해방 후 처음 실시된 한약사국가자격시험에 통과하고 19세에 아호(남성·南星)를 딴 한약방을 차린다. 약의 효험이 뛰어난데 값은 싸니 전국에서 손님이 몰려 많은 돈을 벌었다. 그러나 호의호식하기보다 주변에 사정이 딱한 이웃과 학업 열정이 크지만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도왔다. “아픈 사람들을 상대로 번 소중한 돈을 함부로 쓸 수 없었다”는 선생은 집도 여느 서민 가정과 비슷했고, 뚜벅이 생활을 하며 검소하게 살았다. 그렇게 모은 돈으로 1983년 진주에 명신고등학교를 세웠다. 학교 이사장 시절 좋은 교사를 뽑기 위해 ‘친척 한 명 안 쓰고, 돈 받고 교사 채용하지 않으며, 권력에 굽히지 않겠다’는 세 가지 다짐으로 많은 채용 청탁을 뿌리쳤다. 힘센 국회의원이 “확실하게 잘 해주라”고 부탁한 교사의 신규 채용을 무효로 할 정도였다. 괘씸죄에 걸려 교육·세무 당국이 감사·세무조사를 나와 탈탈 털었지만 문제가 없었다. 선생은 당시를 떠올리며 “그러면 난 오히려 쉽다. 잘못한 게 없거든”이라고 말한다. 그렇게 명신고를 신흥 명문학교로 키운 뒤 1991년 국가에 기부했다. 그때 돈으로 100억원이 넘는 자산이었다.

선생은 1923년 백정의 신분 차별을 바로잡자며 진주에서 시작된 ‘형평운동’ 기념사업회 초대 이사장을 맡아 호주제 폐지 등 평등운동에도 앞장섰다. 그는 형평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오늘 와서도 그(가진 자와 못 가진 자·남녀·노인·장애인 등) 차별은 별로 없어지지 않은 것 같다”며 안타까워한다.

이 밖에 가정폭력피해자쉼터 건립 후원, 지역 극단과 문인을 비롯한 예술인, 언론사(진주신문) 지원 등 꼭 도와주어야 할 곳에 조건 없이 베풀었다. 20여년 운영한 남성문화재단의 남은 자산 34억원도 국립 경상대에 기증했다. “돈은 똥과 같아서 쌓아 두면 악취가 진동하지만, 흩뿌리면 거름이 된다”는 자신의 말을 평생 삶으로 보여준 것이다.

이를 드러내거나 자랑하지 않고 오히려 냉정할 만큼 말수가 적은 어른이라 한 마디 한 마디가 묵직하다. “정치가 도저히 마음에 안 든다”거나 “(힘 있는 자들이) 겁나는 데가 없이 설치면 사회가 몰락한다”고, “우리 사회는 평범한 사람들이 지탱한다”고 할 때다. 이분을 조금이라도 닮길 다짐하고, 이런 어른이 많아지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

이강은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