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기관 간 통신량 고작 0.9%… 있으나 마나 한 재난통신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조5000억 원을 들여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의 지난해 '기관 간' 통신량이 전체 사용량의 1%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통신망 도입의 취지가 재난 현장에서 기관 간의 원활한 소통을 통한 공동 예방과 대처임을 고려하면 내부 무전기같이 유명무실한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올 1월 재난통신망을 통한 기관 간 공조에 차질이 빚어진 점을 인정하고 합동 훈련까지 실시하며 '철저한 재난 대비'를 약속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1%도 안 되는 기관 간 통신의 3분의 2는 매일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담당자가 실시하는 정기교신이라고 한다. 실제 재난 상황에선 거의 쓰이지 않은 셈이다. 재난 현장에서의 통신망 활용 미흡은 지난해 10월 핼러윈 참사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 바 있다. 당시 재난통신망을 쓴 평균 시간은 경찰의 경우 단말기 1대당 5.8초, 소방은 10.8초에 불과했다. 정부는 올 1월 재난통신망을 통한 기관 간 공조에 차질이 빚어진 점을 인정하고 합동 훈련까지 실시하며 ‘철저한 재난 대비’를 약속했다.
하지만 최근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서 똑같은 일이 반복됐다. 사고 당일 “미호천 제방이 터져 물이 넘친다”는 119 신고가 처음 접수된 건 오전 7시 51분. 이후 재난통신망을 이용한 공동 통화가 이뤄진 것은 55분 늦은 오전 8시 46분이었다. 이미 사고가 일어난 뒤였다. 이 통신망은 2분 뒤 추가 공통 통화가 이뤄진 뒤 그날 다시 이용되지 않았다. 예방과 수습 과정에서 거의 쓰임새가 없었던 사실상 ‘먹통 통신망’이었던 셈이다.
‘버튼만 누르면 통신이 가능하다’는데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다면 뭔가 불편하거나 미비한 점이 있는 것이다. 또 아무리 좋은 시스템도 그걸 담당하는 인력이 능숙하게 쓸 수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행정안전부가 4월 현장 인력 실전 교육을 처음 시작해 연내 약 2000명을 교육한다고 하지만 속도가 너무 늦다. 원점에서 재난통신망의 문제점을 조사해 실효성 있는 개선책을 내놔야 한다. 기관 간 협조가 안 돼 우왕좌왕하다가 국민 생명을 구할 골든타임을 놓치는 일이 또 벌어져선 안 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관업체, LH사업 年400억씩 따냈다…부실키운 ‘엘피아’
- [김순덕 칼럼]북조선·서조선·거대조선… ‘NK모델’ 세계로 뻗쳤다
- 美 신용등급 12년만에 강등… 한국 등 亞증시 동반 하락
- [단독]사망한 출생 미신고 아동 249명중 222명 부실조사
- 野, 대한노인회 두번 찾아 “죄송”… 당내 “혁신위 해체를” 부글
- 소방당국 “잼버리 개영식서 83명 온열질환자 발생”
- [횡설수설/장택동]“‘50억 클럽 특검’ 제기되자 망치로 휴대전화 부쉈다”
- ‘수억 원대 뇌물 혐의’ 현직 경찰 고위 간부 구속영장 기각
- 주호민 “뼈아프게 후회… 특수교사 선처 탄원서 올릴 것”
- ‘쌍방울 대북송금’ 김성태 옥중서신…“정치권 희생양 되고 싶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