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침없는 삼바, 그룹 상표권 사용료 6배 늘었다

왕해나 기자 2023. 8. 2. 18: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위상 높아진 바이오 계열사
10년 만에 매출 3조 가파른 성장
신수종 사업서 그룹핵심으로 부상
SK바이오계열사도 16배나 급증
'반·배'와 신성장동력 한 축 맡아
[서울경제]
사진 설명

대기업 그룹 내 신수종 사업으로 시작됐던 바이오 계열사들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매출 등 외형이 크게 성장하면서 그룹에 내는 상표권 사용료도 매년 크게 늘고 있다. 삼성 바이오 계열사들은 처음 상표권 사용료를 낸 때에 비해 약 6배, SK 계열사들은 16배 늘었다. 상표권 사용료는 매출액에 연동된다. 그 만큼 그룹에서 차지하는 기여도와 위상이 높아졌다는 방증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보험, 삼성카드 등 삼성 상표권을 공동 소유한 13개 계열사에 지난해 브랜드 사용료로 90억 4500만 원을 지급했다. 전년도 64억 8800만 원 대비 약 40% 늘어난 금액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삼성 계열사에 상표권 사용료를 지급하기 시작한 2018년 15억 9600만 원에 비하면 약 6배 급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도 마찬가지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13개 계열사에 22억 5600만 원을 냈다. 전년 대비 17% 늘었다. 처음 상표권 사용료를 낸 2019년 16억 9200만 원 대비 33% 늘었다.

삼성 바이오 계열사들의 외형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삼성은 매출의 0.5%를 상표권 사용료로 부과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1년 설립 9년 만에 처음으로 연간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지난해는 제약·바이오업계에서 처음으로 매출 3조 원을 달성했다. 올 상반기에는 이미 1조 5807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역대 최대 실적을 예고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역시 2015년 처음으로 엔브렐 바이오시밀러의 식품의약품안전처 판매 허가를 받은 이후 2016년 1000억 원이던 매출이 지난해 9463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올해는 사상 첫 매출 1조 원을 노리고 있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바이오사업을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하려는 삼성의 의지가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의 바이오 지주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SK그룹에서도 바이오는 핵심 계열사로 떠오르고 있다. SK그룹은 전년도 매출액에서 광고 선전비를 뺀 금액의 0.2%를 상표권 사용료로 받는다.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는 설립 직후인 2018년 SK그룹에 내는 상표권 사용료가 1억 1900만 원에 불과했지만 코로나19 백신 생산·개발에 힘입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한 지난해 18억 5400원을 냈다. 올해는 코로나19가 엔데믹 추세에 접어들면서 실적이 하락하고 있지만 독감 백신 생산능력을 끌어올리며 매출 감소를 상쇄할 방침이다. SK바이오팜(326030)도 전년도 5200만 원에서 지난해 7억 1200만 원으로 상표권 사용료가 크게 늘었다. 2020년부터 미국에서 판매를 시작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매출이 2021년 782억 원에서 지난해 1692억 원으로 두 배 이상 성장했기 때문이다. 2029년에는 연 매출 1조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장을 앞두고 있는 SK팜테코는 지난해 매출 7억 8000만 달러(1조 원)을 올렸고 2026년 매출 20억 달러(2조 5800만 원) 달성이 목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위탁개발생산(CDMO)과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SK의 투자 방향성은 맞다고 생각한다”면서 “SK의 바이오 사업은 반도체와 배터리에 이어 그룹의 글로벌 비즈니스의 한 축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CJ 그룹이 2021년 천랩을 인수해 출범시킨 CJ바이오사이언스와 지난해 설립된 롯데바이오사이언스는 아직 매출이 발생하지 않아 그룹에 상표권 사용료를 지급하지 않고 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계열사와 상표권을 개발·관리 공동부담하고 있어 현대바이오랜드(052260)에서 사용료를 받지 않는다.

왕해나 기자 haena07@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