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국민응답센터’ 출범 1년…여전히 ‘개딸 청원’ 게시판?
혁신위 “온라인에만 당원 두면 한계”…이상민 “팬덤 정치인부터 자성”
(시사저널=변문우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온라인 당원 청원 사이트인 '국민응답센터'가 도입 1주년을 맞았다. 해당 시스템은 당원과 지도부 간 소통은 물론, '문자폭탄' 등 당원들의 극단 행태를 막으려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시사저널이 2일까지 올라온 1년간 청원 157건을 전수 조사한 결과, '징계', '출당', '탄핵'을 언급하며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과 윤석열 대통령을 규탄하는 청원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당내에서도 여전히 '개딸(이재명 대표 지지층) 게시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키워드는 '당원' '징계'…답변 청원 9건 중 8건은 '친명 요구'
지난해 8월 출범한 민주당 국민응답센터에는 이날까지 총 157건의 청원이 올라왔다. 해당 청원들의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당원(36회)'과 '의원(36회)'이 가장 많이 거론됐다. 여기에 '공천(10회)', '당헌(8회)', '혁신(5회)', '검사(4회)', '대의원(4회)', '개딸(3회)' 등 당내 현안과 관련된 단어가 많이 등장했다. 특히 당내외 인사 조치와 관련된 '징계(20회)', '출당(16회)', '탄핵(12회)', '사퇴(8회)', '제명(7회)' 등도 적지 않았다.
정치인 중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14회로 가장 많이 거론됐으며, 여권 인사인 한동훈 법무부 장관도 3회 등장했다. 당내 비명계 인사들 중에선 강성지지층과 대척점에 선 이원욱 민주당 의원(6회)를 비롯해 박지현 전 비상대책위원장(5회), 이낙연 전 대표(4회), 이상민 의원(4회), 박광온 원내대표(4회), 박용진 의원(3회) 등이 거론됐다. 이들에 대한 내용은 대부분 친명계 지지층의 규탄 내용이 담겨있었다.
당내 친명계 인사들도 거론됐다. 이재명 대표(11회)를 비롯해 민형배 의원은 4회, 정청래 의원은 3회 등장했다. 다만 이들에 대해선 '사법리스크', '꼼수탈당 후 복당', '행정안전위원장 내정' 등 각종 논란으로부터 당사자들을 보호하거나 지원사격하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결국 친명계 인사들에 대한 지적이나 규탄은 거의 없었던 셈이다.
답변 기준인 '5만 명 이상의 동의'를 받은 청원 9건도 대부분 친명계 지지층의 요구사항으로 확인됐다. 3건은 이재명 대표의 거취와 관련, '당헌 80조 삭제' 등 당헌·당규 개정을 촉구하는 내용이었다. 다른 3건은 친명계 김용민·정청래·최강욱 의원 관련 이슈를 지원사격하는 내용이었고, 2건은 비명계 인사인 이낙연 전 대표와 박지현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징계·제명 요구 건이었다.
현재 진행 중이거나 종료된 청원 중에는 극단적 요구도 일부 포함돼있었다. 최근 올라온 한 청원은 "이번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고문을 정부의 태블릿 조작 건 증인으로 부르라"고 요구했다. 또 다른 청원에선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패스트트랙으로 추진해 달라"는 주장도 나왔다. 일각에선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도 출당을 요구하거나, 정치탄압 중인 검사를 탄핵하라는 목소리도 있었다.
"청원 게시판으로 공개처형…이재명은 개딸과 절연해야"
당 일각에선 시스템이 출범한지 1년이 지나도 여전히 '개딸 점령 게시판' 오명을 벗지 못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한 비명계 민주당 의원은 통화에서 "최근 문자폭탄이 약간 줄었지만 계속 이어지고 있다"며 "딱히 청원 게시판 등장이 영향을 미친 것 같진 않다. 오히려 다른 목소리에 대해 공개처형하는 것처럼 이슈몰이가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를 향해 "여전히 개딸 등 강성지지층을 절연하지 못하는 태도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혁신위는 해당 문제와 관련해 설문조사를 통해 소통 시스템을 개선하고 강성당원을 설득하겠단 입장이다. 김남희 혁신위 대변인은 시사저널에 "온라인상에서만 당원들을 두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 권리당원들도 본인들의 목소리가 의사결정에서 배제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한 시스템 개선이 이뤄진다면 일부 당원들의 억눌린 감정들도 분명히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당 일각에선 소통 시스템 개선도 중요하지만, 정치인부터 스스로 자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비명계 중진인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통화에서 "당원에 대한 윤리규범이나 정치문화를 바꾸는 것은 물론 대중들의 움직임도 필요하지만 결국 정치 지도자들에게 책임이 있다"며 "정치인들이 이익을 위해 팬덤에 편승, 활용하고 부채질하면 안 된다. 정치권부터 자성과 문화의 대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5년 간 지옥”…9세 의붓딸 성폭행한 50대의 죗값 - 시사저널
- “성적 호기심 때문에” 샤워장서 장병 70여 명 알몸 찍은 해군 병사 - 시사저널
- “나만 벼락거지” 공포감에…‘광기’ 뒤집어쓴 K-증시 - 시사저널
- “주호민에 묻는다. 경찰 신고, 보복의도 아닌가” 일침 날린 교사 - 시사저널
- 교제하던 30대女·모친 살해 후 여친 아들 데리고 도주한 50대 - 시사저널
- “나 변호사야”…교사들이 증언한 ‘학부모 갑질’의 현실 - 시사저널
- 학부모 연락에 “소름끼쳐”했던 고인…학교는 “번호 바꾸라” - 시사저널
- 전 부인 탓하던 도연스님, ‘출가 후 둘째아이 출산’ 사실이었다 - 시사저널
- ‘왜 잠이 안오지?’…당장 확인해봐야 할 3가지 - 시사저널
- ‘이건 다이어트 식품이라 괜찮아’…예외인 경우 셋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