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줄었는데 누가 집 사나요?...이 동네 갔더니 ‘딴세상’이네요 [매부리레터]
인구 감소는 부동산 전망을 얘기할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소재입니다. 지방은 인구 급감으로 활기를 잃은지 오래입니다. 그런만큼 부동산 실수요자들 사이에서는 ‘인구 전망’이 매우 중요한 주제인데요. 실제로 2022년 인구통계에서도 대한민국의 인구 감소는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고령화도 더 깊게 진행됐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도 유독 젊은 인구가 급증하는 도시가 있었습니다.
즉 인구는 줄고, 출산율은 낮으니까, 고령화는 심화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요즘 지방가면 “아기 울음 들어본지가 언제인지”라는 한탄이 쏟아집니다.
그런데 이러한 곳과 분위기가 다른 ‘젊은 도시’가 있습니다.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전년 대비 인구 증가율이 큰 시도는 세종(4.5%), 인천(1.1%), 충남(0.8%)순이었습니다. 인구 감소율은 큰 시도는 울산․대구․부산(-0.9%) 순이었습니다.
인구 수로만 보면, 전년 대비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시군구는 인천 서구(30000명), 경기 화성시(2만5000명), 경기 평택시(1만8000명)였습니다.
즉 세종, 인천, 경기 화성, 평택은 인구가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세종은 가장 젊은 도시이기도 했습니다. 연령별로 인구 비율을 보면, 고령인구는 세종(10.1%)이 가장 낮았습니다. 노령화지수로 보면, 노령화지수가 가장 낮은 시군구는 세종시(53.3), 경기 화성시(56.5), 울산 북구(58.9), 부산 강서구(63.8) 순이었습니다. 일자리가 많은 곳들로 일하는 젊은층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노령화지수가 낮게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총 7개 시도(세종, 인천, 충남, 제주, 경기, 강원, 충북)의 인구는 증가했지만 그 외 10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했습니다.
그외 10개 시도는 노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노령화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920.5)이며, 다음으로 경북 의성군(806.7), 경남 합천군(726.6) 순이었습니다. 노령화지수 상위 10개 시군구 중 경북 5개, 경남 2개였습니다.
전체적으로 국내 인구는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자리가 풍부하고 살기 좋은 곳으로 젊은 사람들이 모여들고, 이곳들은 오히려 인구 유입이 늘고 있는 것입니다. 세종, 인천, 화성, 평택이 대표적입니다. 실제로 세종시는 전국에서 합계 출산율(가임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자녀의 수)이 1.28명(2021년 기준, 전국 평균 0.81명)으로 ‘아이가 많은 도시’로 유명합니다.
국내 인구는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입니다.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총 인구는 감소했습니다. 국내 총인구는 5169만명으로 전년대비 0.1%(4만6000명) 감소했습니다.
인구성장률은 1960년 연평균 3.0%에서 지속적 감소하다가, 1995년 이후부터는 1% 미만대로 떨어졌으나 2020년까지는 플러스 성장을 지속했습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년 연속 마이너스 인구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구 감소보다 ‘총가구수’를 봐야한다는 반박도 나옵니다. 실제로 총가구 수는 늘었습니다. 국내 총가구는 2238만 가구로 전년비 36만 가구(1.6%) 증가했습니다. 가구 규모별로 보면 4인이상 가구는 -5.2%나 줄었습니다. 4인가구가 줄고 1인, 2인가구가 증가했습니다.
즉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세대분리로 1인~2인가구가 증가해 총가구 수는 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돈되는 아파트, 돈 안되는 아파트’(저자 채상욱)에서 저자는주택은 인구가 아닌 가구 단위로 구매하기 때문에 세대수 증가에 주목해야한다고 말합니다.
“수요를 바라보는 기준이 변해야 한다. 외국인 가구의 증가 늘고 있다. 40~50대 이상의 이혼율이 급증하고 유학과 파견가족 등이 증가하면서, 40대 이상 1인 가구의 급증은 가구 수 증가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이처럼 주택 수요가 사회상을 반영하며 급속히 변해가는데도 여전히 인구수는 2030년대에 정점을 찍고, 그 이후에 하락할 것이라는 박제 같은 전망들이 반복된다.”
생산가능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가 심화되면 집을 살 의향이 있는 사람이 줄어들 것은 당연합니다. 실제로 고령화가 먼저 진행된 일본도 부동산을 비롯해 장기 침체를 겪었습니다.
그러나 일본도 도쿄를 비롯해 도심 중심부는 오히려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지방은 빈집이 쏟아져 빈집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국내도 비슷한 양상으로 진행될까요. 젋은이들이 모이는 도시와 노인만 남은 지방, 국내 부동산 시장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는 매부리레터에서 확인하세요.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어처구니 없는 일이”…졸음쉼터 30대 男사망 ‘잠들면 돌로 찍기’ 벌칙 탓 - 매일경제
- 집값 올랐다고 부러워하는데…“혹시나” 공포가 된 새 아파트 - 매일경제
- 1억5000만원에 우울해진 청년들…결혼자금 증여세 면제 ‘시끌’ - 매일경제
- 국민연금, 65세 넘어서 받으면?…55%가 “난 이 방법 반댈세” - 매일경제
- “50도면 쉬어야지”…이틀간 공휴일 선포한 이 나라, 폭염 지속 - 매일경제
- 땡볕에 주저앉은 중년 남성에 생수 건넨 여성…“천사를 봤다” - 매일경제
- 아내가 성관계 거절하자…지적장애 친딸을 강제추행한 친부 - 매일경제
- “모든 책임 지겠다”…해병 1사단장, 채수근 상병 사망에 사퇴 의사 - 매일경제
- “김대리, 회사에 놀러왔어?” 옛말…‘반바지 출근룩’ 늘었다 - 매일경제
- 최지만, 김하성과 한 팀...리치 힐과 함께 SD행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