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여파, 상추값 2배 폭등에도.. 물가 2년여 만에 최저치 "2.3% 올라"
물가상승률 2.3% "석유류 인하 등"
25개월 만 최저.. 역대 최대 하락 폭
집중호우 영향.. 채소류 7.1% 상승
제주 등 두 달 연속 1%대 이어져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3% 올라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상승폭은 2021년 6월(2.3%) 이후 2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역대 최대 하락 폭을 이어가는 석유류 가격과 전기·가스 등 에너지요금 상승률 축소 등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폭우 등 여파로 상추를 비롯한 채소류 가격이 급등하면서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제주 소비자물가도 두 달 연속 1%대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오늘(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0(2020=100)으로 1년 전보다 2.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6월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저 상승 폭입니다.
이처럼 상승 폭이 둔화된 건, 비교치인 지난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로 정점을 찍은 데 따른 기저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더불어 석유류 가격이 역대 최대 하락 폭을 보이는데다 공업제품과 전기·가스·수도료, 그리고 서비스 물가 상승률이 축소된 부분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달 쏟아진 집중호우 여파로 상추를 비롯해 각종 채소류 가격 상승 폭은 뚜렷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로 가장 높이 올랐다가 8월(5.7%)부터 올들어 1월(5.2%)까지 5%대를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2월(4.8%), 3월(4.2%) 4%대로 다소 주춤해졌고 이어 4월(3.7%), 5월(3.3%)에는 3%대, 6월(2.7%)부터 상승률이 2%대까지 내려갔습니다.
제주만 해도 7월 소비자물가가 111.25로 전달과 같은 수준에, 상승률은 전달 27개월 만에 1.5%로 1%대로 내려온데 이어, 1.2%로 두 달 연속 1%대를 이어갔습니다.
마찬가지 석유류 등 하락 폭이 미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품목별로 상품·서비스 물가가 지난해보다 각각 1.4%, 3.1% 올랐습니다.
상품 가운데 농축수산물 가격이 전년보다 0.5%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농산물은 전년보다 0.3% 상승했습니다. 채소류가 1년 전보다는 5.3% 내려 농산물 가격 상승 폭을 줄였습니다.
전년 대비 사과(22.4%)와 고춧가루(8.3%), 고구마(14.1%) 등 가격이 올랐습니다.
하지만 전달에 비해 채소류 상승세가 가팔랐습니다. 지난달 집중호우로 인해 채소류 가격이 7.1% 올라 상추만 해도 83.3%로 높은 수준의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또 시금치(66.9%), 오이(23.2%), 열무(55.3%) 등이 크게 올랐습니다.
축산물 가격은 4.1% 하락했습니다.
전년 대비 국산쇠고기(-6.4%), 돼지고기(-3.8%), 수입쇠고기(-7.4%) 등은 가격이 내려갔고 닭고기가 10.1% 올랐습니다.
오징어(13.4%), 고등어(9.2%) 등이 올라 수산물이 5.9% 상승했습니다.
물가 상승률 둔화 흐름을 주도한 것은 석유류로 보고 있습니다.
석유류가 25.9% 하락해 1985년 1월 관련 통계 작성한 이래 최대 내림 폭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경유가 33.4% 크게 떨어졌고 휘발유(-22.8%), 등유(-20.1%), 자동차용LPG(-17.9%) 등도 가격이 내렸습니다.
전체 물가상승률에 대한 석유류의 기여도는 -1.49%포인트(p)에 달했습니다.
석유류 가격이 전체 물가를 1.49%p, 1.5%p 상당 끌어내렸다는 의미입니다.
석유류 가격에 영향을 받는 공업제품과 전기·가스·수도 가격도 둔화 흐름을 보였습니다.
공업제품의 물가 상승률은 0.0%까지 내려갔습니다.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21.1%로 2022년 9월(14.6%) 이후 그나마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전기료(25.0%), 도시가스(21.3%), 지역 난방비(33.4%) 등이 모두 올라 전기·가스·수도요금이 21.1% 상승세를 기록했지만 전달과 비교해 4.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기세 누진세 완화 영향으로 전기요금이 전월 대비 11.2% 내려간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서비스 물가 중 공공서비스 물가가 1.2% 올랐습니다.
국제항공료(-12.9%), 유치원납입금(-7.6%) 등은 내렸지만 택시료(17.8%), 외래진료비(1.8%) 등이 올랐습니다.
개인서비스 4.7%, 외식 물가가 5.9%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1월(5.5%) 이후 18개월 만에 최저 상승 폭으로 외식을 제외한 물가가 3.8% 올랐습니다.
집세는 월세(0.7%)가 올랐지만 전세(-0.1%)가 내려 0.3% 상승에 그쳤습니다.
구입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물가를 반영한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1.8% 상승했습니다.
상승 폭은 2021년 2월(1.7%)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작았습니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의 경우 지난해보다 1.3% 올라, 지난해 12월(1.1%) 이후 7개월 만에 1%대로 내려갔습니다.
통계청은 채소류의 경우 폭우 등 영향으로 7월 하순 많이 오른 것으로 보고, 물가를 세 차례 나눠 조사하는데 세 번째 조사 때 (영향이) 많이 나타나는 점을 감안하면 등락률이 낮게 나온 측면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결국 폭우 영향이 온전히 반영되는 다음 조사에서 채소류 물가 상승률이 더 높게 나타날 가능성도 적잖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계절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한 장기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인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3.9% 상승했습니다.
근원물가는 15개월 만에 3%대로 내려왔지만,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면서 중장기적인 불안요인이 상존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 대비 3.3% 올라, 지난해 4월(3.1%)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관련해 통계청은 “7월까지는 지난해 기저효과로 인해 물가가 어느 정도 안정된 측면이 있다”면서 “기저효과가 사라지는 8월부터 이같은 둔화 흐름이 이어지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