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18%가 벌어서 이자도 못내 IMF·글로벌 금융위기때보다 많아
한계기업 5년간 10%씩 늘어
가계부채 차주의 6.3%가
저소득층인 동시에 다중채무
가파르게 오른 금리 때문에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이른바 '좀비기업'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긴축 종료 국면에서 이들 기업의 구조조정 여부와 경제에 충격을 주지 않는 시장관리가 큰 과제로 부상하게 됐다.
1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외부감사대상 기업 2만3273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업들의 이자보상배율(이자비용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5.1배로 1년 전(7.35배)에 비해 크게 하락했다. 돈을 벌어들이는 구조가 안정적인 기업이 그만큼 줄었다는 뜻이다. 특히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낼 수 없는 '좀비기업'은 3017곳으로 1년 새 8.7% 늘었다.
문제는 한계 상황에 처한 기업이 늘어나는 속도가 부쩍 빨라졌다는 점이다. 전체 외감기업에서 좀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2.9%로 2017~2022년 연평균 10.1%씩 증가했다.
상대적으로 기업 규모가 크고 경영이 안정적이라고 평가받는 상장사에서도 좀비기업 확산 속도가 빠르다. 지난해 한계상태에 빠진 상장사는 411곳으로 역대 최대로 불어났다. 1999년 외환위기(255곳)와 2008년 금융위기 국면(322곳)과 비교해도 훨씬 많다. 전체 상장사 열 곳 중 두 곳(18.1%)이 한계기업으로 분류됐다.
고금리 국면에서 민간부채가 증폭된 것도 금융시장에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온다. 가파른 금리 인상에도 '빚투(빚내서 투자)'가 꺾이지 않으며 지난해 민간부채가 4833조원까지 늘어났다. 2021년 이후 3.0%포인트 오른 강력한 통화 긴축 조치에도 디레버리징(부채 감축) 효과가 크지 않았던 것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계빚은 1853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하는 데 그쳤다. 시점을 더 넓혀 주요국과 비교하면 한국의 민간부채 증가세는 더 두드러진다.
국제결제은행(BIS)과 한은에 따르면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난해 3분기까지 한국에서 디레버리징이 발생한 분기는 두 차례에 그쳤다. 미국(22회), 일본(20회), 독일(13회), 영국(9회) 등 같은 기간 주요국에서 부채 감축이 활발히 일어났다는 데 비춰 보면 차이가 크다.
특히 부채의 질이 좋지 않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목된다.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빚을 진 다중 채무자이면서 저소득층(소득 하위 30%)인 취약차주가 전체 차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1분기 6.3%로 1년 새 0.3%포인트 늘었다. 취약차주가 보유한 대출이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에 달한다.
[김정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20대 女계약직과 술마신 상무…만취한 틈타 성행위 하다 ‘덜미’ - 매일경제
- “오늘부터 다시 가입받아요”…월 70만원 부으면 5천만원, 조건은? - 매일경제
- “여기서 어떻게 살아”...154개 기둥, 모두 철근 빼먹은 아파트 - 매일경제
- 1억5000만원에 우울해진 청년들…결혼자금 증여세 면제 ‘시끌’ - 매일경제
- “부수고 다시 지어라”...‘임대아파트 커뮤니티’ 분노 극에 달했다 - 매일경제
- ‘탈탈털린’ 탈모인들…강남 유명 탈모센터서 40억원치 당했다 - 매일경제
- “돈 나오는 곳 여기뿐”…정책대출 8월분 나오자마자 오픈런 - 매일경제
- [영상] “감동적 장면”…나무 뽑힐 강풍에도 무명용사 묘 지키는 ‘늙은경비대’ - 매일경제
- [단독] 경찰, ‘호반건설 봐준 공정위’ 고발한 시민단체 고발인 조사 - 매일경제
- 前 한화 출신 안승민, 100억 대 전세 사기 연루로 검찰 송치 [MK이슈]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