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풍 붕괴’ 후 멀리한 무량판 재부각…“제대로 준비 안된 채 아파트에 적용돼”
이번 철근 누락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아파트 15개 단지 사태가 발생한 중심에는 ‘무량판 구조’(보 없이 기둥이 직접 슬래브를 지지하는 구조)가 있다.
무량판은 보 없이 기둥이 바로 슬래브(콘크리트 천장)를 지지하는 구조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돼 왔지만 국내에서는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의 오명으로 그동안 아파트 등의 주거 건물에는 사용을 꺼려 왔다.
그러다 2010년대 중반부터 공사비 절감과 내부 공간 활용이라는 무량판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지하 주차장을 중심으로 아파트 단지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허약한 한국의 건설 시스템은 정밀한 설계·시공·감리가 뒤따라야 하는 이 구조를 떠받치지 못했고 최근과 같은 사태를 불러왔다.
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부분 아파트는 기둥 없이 내력벽으로 천장을 받치는 벽식 구조로 돼 있다.
벽식 구조는 벽이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한 번 짓고 나면 내부 구조를 바꾸기 어렵고 바닥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층이 얇아 층간소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기둥식은 주상복합아파트에 주로 적용하는 구조인데 수평 기둥인 ‘보’가 천장을 받치고 하중을 견딘다. 벽을 철거하고 자유롭게 내부 공간을 새로 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량판은 보 없이 기둥이 바로 슬래브(콘크리트 천장)를 지지하는 구조다. 기둥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슬래브가 뚫리는 것을 막으려면 기둥 주변에 철근(전단보강근)을 여러 겹 감아줘야 한다.
이번에 문제가 된 15개 LH 관련 철근 누락 단지는 바로 이 철근을 빠뜨렸다.
무량판은 다른 나라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구조다. 미국에선 아파트에 주로 이 구조를 적용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1995년 삼풍백화점 사고 이후 주택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백화점 등 상가 건물이나 전시 시설들이 내부가 탁 트인 ‘오픈 스페이스’를 만들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무량판 구조를 써왔다.
무량판 적용 아파트 단지는 2010년부터 서서히 늘어나기 시작했는데,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내부 구조를 바꾸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부각됐기 때문이다.
건설 공사에선 터 파기에 상당한 비용이 드는데 무량판은 보를 두지 않아 층고를 낮출 수 있다. 즉, 땅을 덜 파도 된다. 암반이 많은 우리나라 지형 특성상 비용 절약 효과가 클 수밖에 없다.
또 지하주차장 내부를 좀 더 넓게 쓸 수 있어 주차 공간이 늘어나니 주민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한준 LH 사장은 “무량판은 벽식 구조에 비해 인건비가 적게 들고, 층고가 낮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2017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내부 리모델링이 어려운 벽식 아파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몇 년 사이엔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를 적용하는 아파트가 늘었다.
세대와 세대 사이에는 내력벽을 두되, 세대 내에선 벽을 가변형으로 쓸 수 있도록 무량판을 채택하는 절충형이다.
지난해 1월 붕괴한 광주 화정 아이파크가 이런 절충 구조가 적용된 곳이다.
2004년 입주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삼성도 무량판 구조를 택했다. 이 아파트는 2013년 삼성동 헬기 추락사고 당시 헬기가 25층에 부딪혀 외벽이 일부 무너졌지만, 건물 구조에는 손상이 없었다.
그러나 아파트 건설 현장에선 무량판 구조가 기존에 익숙한 벽식과는 다른 구조라는 점이 문제가 됐다.
무량판 구조는 설계나 시공상의 문제가 있으면 붕괴에 취약한데 이 구조에 대한 설계·시공·감리 전반의 전문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정부·LH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지적이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상가 등 고급 빌딩은 공사 단가가 높아 무량판 구조 설계·시공·감리가 비교적 꼼꼼하게 이뤄졌겠지만, 원가 절감을 최우선시하는 아파트에서 탈이 난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감리에 LH나 건설업계 퇴직자들이 가는 경우가 많다”며 “벽식 구조를 주로 다뤘던 이들이 새로운 구조를 감당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건설 현장 노동자들이 대부분 외국인이다 보니 기술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 역시 상존하고 있다. 건설회사들이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 본사 직원이 아니라 현장에서 채용한 직원(현채)들을 많이 사용하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현채 직원들은 해당 공사 현장이 유지될 때까지만 직원 신분을 유지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건설업계에서는 “무량판 구조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다기보다는 비용을 절감하려는 건설업계의 관행에 설계·감리 등 전반적인 관리 감독이 안되면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라며 “이번 기회에 한국 건설 시스템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만들 필요가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해동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외신 “역대 최대 폭염 美, 탈출법이 한국에 있다”
- 한채영, 결혼 17년 현실 민낯… “훈남 남편? 이제 없다”
- 1.3억짜리 테슬라 年 13만원 내는데, 0.6억 제네시스는 90만원…“과세 개선”
- 17세 女아이돌, 갑작스럽게 사망…활동 기간 4개월
- 52억에 낙찰된 우주에서 온 ‘블랙 다이아몬드’, 1조원대 코인 사기꾼이 구매
- [속보] ‘철근 누락’ LH 아파트, 서울 수서·파주 운정·남양주 별내 등…15곳 공개
- 61세 양자경, 77세 페라리 前CEO와 신혼일상 공개
- “주병진, 동료와 크게 다퉈 하차” 허위제보…法 “2000만 원 배상”
- 교총, 법원에 “교사 무단녹음 엄벌해달라” 탄원…주호민 ‘사면초가’
- 한국 위협했던 푸틴 최측근 메드베데프 “우크라 대반격 성공하면 핵 사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