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한은 대출제도 개편…은행-비은행 생태계 파괴할 수도"

최정희 2023. 8. 1. 15: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하나증권은 한국은행이 은행에 대출 적격담보채권을 확대하고 유사시 비은행권에서 같은 방식을 적용해 유동성을 공급하는 '대출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한 것과 관련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상만 하나증권 수석연구위원은 1일 보고서에서 "지난 번 새마을금고 예금인출 사태가 재현될 경우 한은이 해당기관이 보유한 채권을 담보로 유동성 지원을 적시에 해줄 수 있게 됐다"며 "이는 지난 봄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 발생 당시 도입한 BTFP(Bank Term Facility Program)의 한국판 버전"이라고 평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 비은행에 자금 지원…한국판 BTFP
"정책당국이 은행·비은행간 장벽 허물어 버려"
비은행에 암묵적 신용보강…의도치 않은 혼란 야기
비은행, 하이일드채권·중후순위 PF 등 리스크 테이킹 안 할 듯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하나증권은 한국은행이 은행에 대출 적격담보채권을 확대하고 유사시 비은행권에서 같은 방식을 적용해 유동성을 공급하는 ‘대출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한 것과 관련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출처: 하나증권
김상만 하나증권 수석연구위원은 1일 보고서에서 “지난 번 새마을금고 예금인출 사태가 재현될 경우 한은이 해당기관이 보유한 채권을 담보로 유동성 지원을 적시에 해줄 수 있게 됐다”며 “이는 지난 봄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 발생 당시 도입한 BTFP(Bank Term Facility Program)의 한국판 버전”이라고 평가했다. BTFP는 연준에서 은행, 저축협회, 기타 적격 예금기관으로부터 최대 1년간 국채, 모기지 채권 등을 액면가액으로 담보를 받고 자금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이로써 정책당국은 기존의 각종 시장 안정화 조치에 더해 비은행권 유동성 경색 상황까지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셈이고, 이는 적어도 표현적, 단기적으론 투자 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조치는 장기적으론 잠재적인 부담 요인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정책당국이 공식적으로 은행, 비은행간의 장벽을 허물어버림으로 인해 관련 금융사들간의 정체성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며 “정책당국이 비은행에 암묵적인 신용보강을 제공하는 것은 그 명분에 대한 적절성은 논외라 하더라도 자칫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은행이 아닌 금융사에 대해 은행 대우를 해주겠다는 것이고 이는 향후 예금 및 대출시장에 의도치 않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비은행은 보강된 신인도로 인해 낮은 이자로도 예금을 유치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는 은행권 및 비은행 예금자들로서도 그리 달갑지 않은 상화이라고 평가했다. 또 비은행은 낮은 금리로 조달함에 따른 요구수익률 하락으로 인해 이전 대비 위험 투자를 안해도 되는, 운신의 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수석 연구위원은 “그간 비은행들은 은행 대비 불리한 조달 환경에 맞춰 상대적 투자 위험도가 높은 하이일드 채권, 중후순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시장 등에서 큰 손 역할을 해왔지만 이번 제도 개편으로 인해 더 이상 리스크 테이킹할 유인이 없어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도는 좋았지만 결과는 전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귀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수석 연구위원은 “예금-대출시장에는 오랜 세월 누적된 먹이사슬 생태계가 존재하고 있다”며 “시스템 내 비은행의 비중이 커졌다고 지원해줘야 한다는 것은 대마불사 논리와 다르지 않다. 이번 조치로 인해 정책당국은 우발적 생태계 파괴자가 될 수 있는 위험성에 노출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최정희 (jhid020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