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국 느린 학습자 첫 전수조사…"맞춤형 교육도 개발"
[EBS 뉴스12]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학습과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경계성 지능, 혹은 느린 학습자라고 부릅니다.
장애인과 달리 법적 지원을 받지 못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많았는데요.
정부가 이런 학생들을 교육 제도로 포용하기 위해 처음으로 전수조사를 시작합니다.
진태희 기자가 단독으로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능 지수가 70에서 85 수준인 '경계선 지능인'
느린 학습자라고도 하는데, 학교 수업을 따라가거나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하지만 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이나 복지 혜택에선 소외돼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지원이 어렵다 보니, 나이가 들수록 학습 결손이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정부가 이들을 돕기 위해 처음으로 전수 현황 파악에 나섰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학생을 최소 3개월 이상 가르친 교사가 검사지표에 따라 위험군을 추려내는 방식입니다.
검사 항목은 수업 시간 집중도나 간단한 그림을 따라 그릴 수 있는지 등 23개 질문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질문당 점수는 최대 4점인데, 초등학교 1학년 기준 64점 이상이면 느린 학습자 위험군으로 분류됩니다.
인터뷰: 최윤정 기초학력진로교육과장 / 교육부
"이 학생들에게 특화된 교수 학습 자료가 따로 있지는 않았어요. 사실 그동안 느린 학습자가 있다는 건 알고 있지만 어느 정도의 규모로 있는지는 저희가 파악한 적이 한 번도 없었거든요."
그동안 경계선 지능인 규모는 전체 인구의 13.6% 정도일 거란 이론상 추정에만 기대왔습니다.
느린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한 조례도 전국 10개 시도에 마련돼 있지만, 현황에 근거해 대상자를 찾기보단, 신청해야 돕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번 전수조사는 맞춤형 지원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학교 현장의 지원 인프라가 뒤따라야 의미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송연숙 이사장 / 느린학습자시민회
"그들(느린 학습자)을 매칭해 줄 수 있는 교사나 인프라가 있느냐, 공적인 인프라 안에서는 없고 다 사적 영역으로 인프라가 있기 때문에 저는 좀 걱정스러운 부분이거든요."
교육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느린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착수하고, 조사 범위도 중고등학교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번 조사는 다음 달 24일까지 실시하고, 결과는 올해 말 발표할 예정입니다.
EBS뉴스 진태희입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