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세수펑크’…상반기만 40조 줄었다 外 [한강로 경제브리핑]
3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6월 국세 수입 현황’을 보면 올해 1∼6월 국세 수입은 178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조7000억원(18.2%) 줄었다. 1∼6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6월 한 달만 놓고 봐도 국세수입은 18조4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조3000억원 줄었다. 6월 국세 수입 예산 대비 진도율은 44.6%에 그쳤다. 지난해 6월 실적 대비 진도율(55.1%)과 최근 5년 평균 실적 대비 진도율(53.2%)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올해 남은 기간 지난해와 같은 수준의 세금을 걷는다고 해도 올해 세수는 세입 예산(400조5000억원) 대비 44조4000억원 부족하다.
국세 수입 감소는 법인세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법인세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조8000억원(26.4%) 줄어든 46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6월까지 누계 법인세수 감소 폭은 전달 누계(17조3000억원)보다 다소 줄었다. 법인세 원천징수분이 늘면서 법인세가 1년 전보다 5000억원 더 걷힌 결과다.
6월까지 소득세수는 57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조6000억원(16.7%) 줄었다. 6월 한 달간 소득세수가 1년 전보다 2조1000억원 줄면서 누계 감소 폭을 키웠다. 상반기 부가가치세는 35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조5000억원(11.2%) 감소했다. 수입 감소와 동시에 세정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도 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이 밖에 교통에너지환경세는 6월까지 5조3000억원 걷혔다. 유류세 한시 인하 효과 등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000억원(11.9%) 줄어든 결과다. 6월 종합부동산세는 1조4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000억원 줄었다. 종부세는 통상12월에 납부하지만, 분납분은 6월에 낸다. 6월 관세는 수입 감소 영향으로 4000억원 줄어든 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2021∼2022년 세정 지원에 따른 지난해 세수 증가(10조2000억원) 등 기저효과를 제외하면 실질적 세수 감소는 29조5000억원 수준이라고 추산했다.
이처럼 세부족 규모가 크다 보니 연말까지 이를 메우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당초 정부는 올해 국세 수입을 400조5000억원으로 예상하고 세입예산을 편성했다. 지난해 걷힌 세금(395조9000억원)보다 4조6000억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간한 ‘BOK경제분석: 지난 60년 경제환경변화와 한국기업 재무지표 변화’에 따르면 1961년부터 2021년까지 우리나라 제조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18.9%로 이 기간 명목 GDP 성장률(16.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제조업이 급성장한 것은 1960∼1970년대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제조업 매출액 증가율은 각각 34.9%, 37.2%였다. 그 결과 GDP에서 제조업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우리나라는 제조업 강국으로 자리를 잡았다. GDP 중 제조업 비중은 1988년 30.5%까지 늘어나 정점을 찍었다.
정부의 제조업 지원 정책의 주수단은 금융 개입이었다. 몇 차례 관련 제도 개정을 통해 정부는 소위 ‘관치금융’이라고 불리는 금융자원 배분 체제를 확립했다. 그 결과 기업의 성장성은 높아졌으나 안정성은 크게 낮아졌다.
조 위원은 1971∼1972년, 1980∼1981년, 1997∼1998년(외환위기)의 세 차례의 경제위기를 언급하면서 해당 상황이 다른 나라의 경우와 달리 가계부채나 정부부채가 원인이 아닌 기업부채 위기에서 비롯됐다고 진단했다. 금융지원을 통한 성장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는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 기업은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우리 기업은 국제통화기금(IMF) 관리 체제에 들어가면서 안정화 시책과 금융 구조조정 과정을 통해 위기를 극복했다. 그 결과 자본시장이 완전히 개방되면서 기업의 안정성이 중시됐고 평균 부채비율은 미국, 일본, 독일의 기업들보다 낮아졌다. 반면 매출액 증가율은 30%대에서 2020∼2021년 7.9%까지 내려앉았다.
조 위원은 최근 미국 기업의 영업이익률을 언급하며 “미국이 정보기술(IT) 등에서 독과점 지위를 누리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며 “우리도 반도체기업, 자동차기업과 같이 독보적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 혁신과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개월 시한부' 암투병 고백한 오은영의 대장암...원인과 예방법은? [건강+]
- “내 성별은 이제 여자” 女 탈의실도 맘대로 이용… 괜찮을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속도위반 1만9651번+신호위반 1236번… ‘과태료 전국 1위’는 얼마 낼까 [수민이가 궁금해요]
- '발열·오한·근육통' 감기 아니었네… 일주일만에 459명 당한 '이 병' 확산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女스태프 성폭행’ 강지환, 항소심 판결 뒤집혔다…“前소속사에 35억 지급하라”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