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만난세상] ‘내려놓는’ 교사들

이예림 2023. 7. 31. 23: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교에서 교권이 사라지고 있다.

교권의 사전적 정의는 교사로서 지니는 권력이나 권위다.

공포의 대상이 된 교사들은 권력을 내려놓으라 요구받았다.

교사였던 부모는 요즘 학교는 다르다며 걱정이 많았지만 개의치 않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교권이 사라지고 있다. 교권의 사전적 정의는 교사로서 지니는 권력이나 권위다. 권력은 힘의 논리다. 권위는 가치의 논리다. 권력 행사의 예가 갑질이라면, 권위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지도층의 사회적 책임)다. 학교 현장에선 체벌과 훈육으로 구분된다. 과거 교권은 대개 권력의 논리로 통했다. 반항하는 학생은 매 맞기 일쑤였다. 공포의 대상이 된 교사들은 권력을 내려놓으라 요구받았다. 2010년엔 경기도교육청이 교사의 체벌 금지 등을 담은 ‘학생인권조례’를 처음 제정했다.

13년이 지났다. 내려놓은 건 권력만이 아니었다. 권위도 함께 사라졌다. 권위의 핵심은 존중과 존경심이다. 존중이 사라진 교실에선 교사를 교사로 보지 않는다. 교사에 대한 교육활동 침해 행위는 2020년 1197건에서 2021년 2269건, 2022년 3035건으로 증가 추세다. 지금의 교육 현장에선 힘의 논리도, 가치의 논리도 찾아보기 어렵다. 무논리가 판치니 자연스레 교육 현장은 무질서 상태가 됐다.
이예림 국제부 기자
이제 먼저 내려놓는 쪽은 교사다. 서이초 교사가 사망하기 사흘 전 두 명의 교사를 만났다. 2년 차 중등 교사 A씨는 “내려놓았다”는 말을 달고 산다고 했다. 분명 열정 가득한 시작이었다. 교사였던 부모는 요즘 학교는 다르다며 걱정이 많았지만 개의치 않았다. 그랬던 그가 수업 첫날부터 교권 침해를 당했다. 타이르고 혼내고 대화를 시도했다. 그 무엇도 통하지 않았다. 교권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교권보호위원회까지 갔다. 추락한 교권 앞에 열정은 금방 고개를 숙였다.

신규 중등 교사 B씨는 “내려놓아라”라는 조언을 가장 많이 듣는다. 시쳇말로 ‘흐린 눈’ 하란 얘기다. 보고도 못 본 척해야만 내가 산다고 했다. 교사가 이런 생각을 해도 되나 싶었다. 한 학기가 끝난 지금 그 말에 수긍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간단한 생활 지도 끝에 돌아오는 건 학생의 조롱과 폭언. 학부모 민원도 끝없다. 이제 그는 내려놓기에 제법 익숙해졌다.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두 사람 모두 공교육의 붕괴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절반은 학교 수업을 듣지 않는다. 학원에서 이미 배웠기 때문이다. 배울 게 없다고 생각하니 존중도 피어나질 못한다. 학생만 그런 게 아니다. 가정에서의 학부모도 같은 생각이다. 교단에 선 교사는 한없이 작아진다. 여기에 비례해 권위의 크기도 쪼그라들었다. 가르침도 배움도 없는 교육 현장에서 기대할 수 있는 건 없다.

교사들은 거리에 나와 외친다. “우리들은 가르치고 싶다, 학생들은 배우고 싶다” 학교가 배움의 현장으로 돌아올 때 권위도 회복된다. 결국 공교육 살리기가 관건이다. 일련의 사건들 속에 개인을 악마화하는 데 집중한 나머지 공교육 개혁의 목소리는 묻혔다. 문제의 본질을 확실히 짚어야 할 때다.

교사가 학생을 내려놓기 시작하면 방법이 없다. 무너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학생들이 사회 구성원이 됐을 때가 가장 문제다. 교권 추락이 한순간에 이뤄졌듯이 언제 사회가 모래탑 무너지듯 으스러질지 모른다. 교육 현장에 모처럼의 관심이 쏠린 지금 공교육 개혁이 속도를 내야 하는 이유다.

이예림 국제부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