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만난 여름철 페스티벌, 음악·연출 3박자 맞아야 짜릿”

이복진 2023. 7. 31. 20: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물을 사용하는 데 단순히 멋지게 멀리 많이 뿌리는 게 전부가 아닙니다. DJ 음악과 관객 반응에 맞춰 다른 특수 효과들과 조화를 이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기계의 특성과 연출을 잘 알아야 하죠. 단순하게 물을 뿌리는 게 아닌 연출로써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겁니다."

"우리는 물도 많이 사용하지만 불을 더 많이 씁니다. 관객들이 물을 많이 맞다 보면 체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불을 다른 공연에 비해 많이 사용하지요. 워터 뮤직 페스티벌이라고 하지만, 물과 불이 어우러지는 페스티벌인 거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은성 비이피씨탄젠트 대표

“물을 사용하는 데 단순히 멋지게 멀리 많이 뿌리는 게 전부가 아닙니다. DJ 음악과 관객 반응에 맞춰 다른 특수 효과들과 조화를 이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기계의 특성과 연출을 잘 알아야 하죠. 단순하게 물을 뿌리는 게 아닌 연출로써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겁니다.”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워터 뮤직 페스티벌에 대해 김은성 비이피씨탄젠트 대표는 “시원하고 짜릿한 경험을 위해 사람들이 워터 뮤직 페스티벌을 찾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이피씨탄젠트 제공
전국 폭염으로 들끓고 있다. 이러한 더위에 워터밤, 싸이 흠뻑쇼, S2O 코리아(KOREA) 등 물과 음악이 함께 하는 페스티벌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대해 김은성 비이피씨탄젠트 대표는 “여름이 해마다 더워지고 있으며, 음악 페스티벌의 발전과 더불어 시원하고 짜릿한 경험을 찾기 위해 사람들이 워터 뮤직 페스티벌을 찾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이피씨탄젠트는 국내 EDM(Electronic Dance Music·전자음악) 페스티벌의 시초인 ‘월드 DJ 페스티벌’ 등 다양한 페스티벌을 주최, 주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태국의 대표 물 축제인 송끄란 페스티벌을 한국화한 S2O 코리아를 개최하고 있다.

김 대표는 “워터 뮤직 페스티벌 대부분이 장마가 시작하거나 그 이후에 열린다”라며 “물이 사방으로 뿌려지면서 시원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점이 장점”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일사병과 열사병 등 여름철 질병 발생도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다만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병 등 또 다른 문제점이 생기기도 한다. 일부 워터 뮤직 페스티벌에서는 공연 이후 피부병이 생겼다는 후기가 거론되기도 했다. 김 대표는 “그런 점을 막기 위해 수돗물을 특별히 만들어진 수조에 받아서 바로 사용한다”며 “물 대포를 관객 쪽으로 쏘지 않고 하늘로 흩뿌리는 점도 안전사고 발생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관객들이 가져온 물총이 더 위험할 수 있다”며 “성능이 좋은 물총이 많은데 눈에 쏘게 되면 크게 다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환경에도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물에 젖으면 바로 쓰레기가 되기 때문에 일회용품 사용을 자제하고 있어요. 환경을 생각하는 페스티벌을 지속적으로 만들고 싶고, 그래서 친환경 업체의 후원을 받아서 같이 홍보하고 있죠.”

워터 뮤직 페스티벌은 매회 다량의 물을 사용한다. 7월 8∼9일 양일간 개최된 S2O 코리아도 120만ℓ를 사용했다. “물을 많이 사용한다고 공연이 잘 되는 건 아닙니다. 물을 모터로 끌어올리고 공연장에 안전하게 공급해야 합니다. 또 물을 멀리 또는 가까이, 곡선 또는 직선, 분무 등으로 연출해야 하기 때문에 워터캐논, 워터건, 스트리에트젯, 롱젯 등 다양한 장비도 필요합니다.”

물뿐만 아니라 불도 중요하다.“우리는 물도 많이 사용하지만 불을 더 많이 씁니다. 관객들이 물을 많이 맞다 보면 체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불을 다른 공연에 비해 많이 사용하지요. 워터 뮤직 페스티벌이라고 하지만, 물과 불이 어우러지는 페스티벌인 거죠.”

대형 페스티벌들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점에 대해선 아쉬움을 나타냈다. “지방에서 공연을 하면 비용이 더 많이 들어요. 게다가 인프라가 서울에 집중돼 있기도 하고, 관객들도 지방보다는 서울 등에서 공연하면 더 많이 옵니다. 사람들이 많이 와야 재미있는데, 지방은 그렇지 않아서 지방 공연이 힘든 게 사실입니다.”

그러면서도 희망을 놓지 않았다. 김 대표는 “하지만 이것도 노력하면 바뀌지 않을까 한다”며 “서울에서도 공연 첫해 수익 발생은 어렵지만 계속 꾸준히 투자하면서 알려지고 장기적으로 수익이 발생했으니 이 부분(지방 공연)도 도전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