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 최고의 잠수 사냥꾼 민물가마우지…유해야생동물 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물가마우지'(학명 Phalacrocorax carbo)는 육지에 사는 새 가운데 최고의 '잠수 사냥꾼'이다.
환경부는 이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30일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하기 위해 올해 안에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겨울철새였던 민물가마우지는 2003년 경기 김포에서 100쌍이 번식하는 게 확인된 뒤 경기 양평과 강원 춘천∙의암호 등지에서 잇달아 집단 번식지가 발견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올해 안 유해야생동물 지정”
‘민물가마우지’(학명 Phalacrocorax carbo)는 육지에 사는 새 가운데 최고의 ‘잠수 사냥꾼’이다. 강이나 습지에서 물속으로 잠수해 재빨리 물고기를 낚아채 올라온다. 이러한 습성 때문에 역사적으로 강과 호수에 삶터를 꾸린 어부들과 갈등을 빚어왔다. 중국과 일본, 페루 등에선 역발상으로 민물가마우지를 이용한 낚시법이 성행하기도 했다. 민물가마우지 목에 줄을 묶어 물고기를 삼키지 못하게 한 뒤, 가마우지를 풀어 물고기를 사냥해 오게 하는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민물가마우지가 양식장과 내수면 어업에 대한 피해를 일으킨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부는 이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30일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하기 위해 올해 안에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겨울철새였던 민물가마우지는 2003년 경기 김포에서 100쌍이 번식하는 게 확인된 뒤 경기 양평과 강원 춘천∙의암호 등지에서 잇달아 집단 번식지가 발견됐다. 일부 개체군이 텃새화하면서, 2018년 3783개였던 둥지 수가 올해 상반기 조사에서 5857개로 늘어나는 등 번식 개체 수도 늘어나는 양상이다.
민물가마우지는 전국 내륙의 강과 호수 등 습지와 해안에 무리를 지어 사는데, 주민들은 양식장, 낚시터에 피해를 주고 어로를 방해한다고 민원을 제기해왔다.
환경부는 이날 “올해 청주시와 평창군 등 28개 지자체에서 양식장, 낚시터, 내수면 어로 어업 등 58개 수역의 피해를 보고했다”며 “일부 지자체가 유해야생동물 지정을 건의함에 따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피해가 제기된 지역은 △경기 북한강 인근 족자섬 △충북 청주시 한계리∙이정골 △강원 평창강 일원 등이다. 이 지역의 가마우지는 주로 민물 양식장의 물고기를 노리거나 그물에 잡힌 물고기를 가져간다.
환경부는 지난해 7월 비살상적 관리방법인 ‘번식지 관리지침’을 각 지자체에 배포한 뒤, 올해 상반기까지 번식지 및 피해 상황을 조사했다.
민물가마우지는 전 세계에서 인간과 갈등을 빚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이 2021년 펴낸 ‘민물가마우지의 생태적 영향 파악 및 관리대책 수립 연구’를 보면, 민물가마우지의 전 세계 개체 수는 140만∼210만마리로 추정된다. 유럽에서는 개체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북아메리카에서는 변동이 미미하다. 영국, 프랑스, 노르웨이, 덴마크, 일본과 캐나다의 일부 주 등은 포획을 허가하고, 독일, 체코 등은 재정보상 계획을 수립해 어업 피해에 대해 보상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양식장에 가마우지가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물이나 소음기를 설치하라는 방안도 내놓고 있다.
이 보고서는 “전반적으로 가마우지류의 개체 수 증가와 어류 개체군과의 상관 관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일부 특이 개체군에 한해 제한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가마우지가 플랑크톤 섭식 어류를 취식함으로써 하천 내 부영양화를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영향도 있다”며 “중장기적인 생태적 경쟁 및 지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동물에 지정되는 유해야생동물은 지자체의 포획 허가를 거쳐 개체 수를 조절할 수 있다. 현재 참새, 까치, 직박구리, 멧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등이 지정됐다. 까마귀, 갈까마귀, 떼까마귀와 달리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지 않았던 큰부리까마귀도 과수원 피해와 정전을 일으킴에 따라 유해야생동물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안전관리 안 한 회사…살아남은 노동자는 산재사망 공범이 됐다
- [단독] ‘월급 사장’ 내세워 중대재해 처벌 피하는 ‘진짜 사장’
- 폭염으로 끓다가 극한호우 쏟아졌다…이것이 열대화?
- 사람 없는 윤 대통령, 이동관 기용 ‘이명박 정부 2기’ 화룡점정
- ‘급속 충전’ 2차전지 주가 널뛰기…시총 60조 1시간 만에 ‘방전’도
- 아파트서 수업 훔쳐보며 “애 표정 안 좋아” 전화…학부모 갑질
- 특수교사 “설리번 선생님도 아동학대 몰릴 것…맞는 게 일상”
- 저수지에 100년 수장된 5t 나무에서 불상 1천개 나왔다
- 한국 의사 월급 OECD 최고…임금 노동자 평균의 4~7배
- ‘온열질환’으로 이틀간 7명 사망…“낮 야외활동 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