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 지방은행에 대전시만 쏙 빠지면 곤란

2023. 7. 30. 20: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청권 지역민들의 숙원인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주춤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충청권 4개 광역자지단체가 지난해 12월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갖고 구체적인 밑그림까지 제시했는데 그 이후 진전된 소식이 들리지 않는다.

이러다가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좌초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충청권 지방은행은 지난 2021년 초부터 추진됐고, 그해 12월에는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공동 추진을 철석같이 약속한 사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98년 퇴출된 충청은행. 대전일보 DB

충청권 지역민들의 숙원인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주춤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충청권 4개 광역자지단체가 지난해 12월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갖고 구체적인 밑그림까지 제시했는데 그 이후 진전된 소식이 들리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초기 자본금 유치가 여의치 않고, 광역단체 간 공조도 느슨해지는 분위기다. 이러다가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좌초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충청권 지방은행의 가장 큰 걸림돌은 자본금 모집이다. 지방은행을 설립하려면 은행법상 자본금 250억 원이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전산시스템 구축비, 연간 유지관리비 등을 포함해 5000억 원가량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초기 자본금을 투자하고 은행 경영을 담당할 대주주를 확보하는 일이 급선무다. 안타깝게도 충청 연고 기업, 빅테크 및 핀테크 기업 등을 대상으로 투자자를 모집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

충남도와 대전시가 엇박자를 내고 있는 것도 문제다. 충청권 지방은행은 지난 2021년 초부터 추진됐고, 그해 12월에는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공동 추진을 철석같이 약속한 사인이다. 그럼에도 지난해 7월 이장우 대전시장 취임 이후 추진 동력이 급속도로 약화되고 있다. 대전시가 지방선거 공약인 '기업 금융 중심은행'을 추진하면서 지방은행에서 슬그머니 발을 빼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충청권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1998년 충청은행, 1999년 충북은행이 문을 닫으면서 지역금융의 불모지로 남아 있다. 지방은행 부재는 지역 금융경제 낙후, 지역 자금 역외유출 증가, 수도권 금융 집중 등 부작용을 불러왔다. 충청권 지방은행이 사라진 빈자리는 전북은행, 부산은행 등 외지 은행이 대체하고 있고 최근에는 대구은행이 본격적인 충청권 진출을 노리고 있다.

이런 판국에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충청권 4개 광역단체가 똘똘 뭉쳐도 쉽지 않은데 대전시만 쏙 빠져나와 다른 형태의 금융기관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둘 다 잘 되면 좋겠지만 지역민들이 바라는 은행은 최대한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는 지방은행이다. 특정 분야 기업만을 위한 벤처투자은행이 결코 지방은행을 대체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되새기기 바란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