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착공 '반토막'…3년 후 전세난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들어 아파트 착공 실적이 전년 대비 '반토막' 났다.
착공부터 입주까지 3년가량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다음 전세 계약 때는 주택 공급이 더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아파트 착공 실적이 전년 대비 ‘반토막’ 났다. 착공부터 입주까지 3년가량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다음 전세 계약 때는 주택 공급이 더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지금보다 전세가격 상승 폭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5월 전국 아파트 착공 실적은 5만8603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6.4% 줄었다. 서울 아파트는 지난해 같은 기간 1만7852가구에서 올해 6727가구로 급감했다. 인천은 1만1888가구에서 2990가구로 쪼그라들었고, 경기도 2만8648가구에서 2만3056가구로 감소했다.
분양 승인 가구 수도 감소 폭이 작지 않다. 올해 들어 6월까지 전국 주택 분양실적은 4만739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1.8% 줄었다. 서울은 4601가구에서 5716가구로 소폭 늘었지만, 인천(4535가구→2576가구) 경기(2만3749가구→1만7762가구)의 감소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왔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2025년과 2026년 입주 물량이 실제로 급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와 있다”며 “금리 등 여러 요인을 봤을 때도 서울은 전세가격이 빠르게 반등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착공 외에도 공사비 상승이나 분양가 인상 등으로 조합과 시공사 간 협의가 늦어지면서 분양 일정이 밀릴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개포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올해 준공 단지가 많은 지역에 전세를 구하고 다음 계약 때는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해 임대료 상승률을 줄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며 “전세에 대한 회피 현상이 아직 해소되지 않아 전셋값 반등이 본격화하지 않은 최근이 전세 계약을 맺기에 적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달 4000만원 벌죠"…40대 뮤지컬 배우의 '이중생활' [방준식의 N잡 시대]
- "벌써 3만7000대 팔렸다"…하차감에 '인기 폭발'한 수입車
- "판사님, 블랙박스 제발 한 번만 봐주세요" 호소했지만… [아차車]
- "호텔 방 구하기 힘들 지경"…인구소멸위기에도 뜨는 여행지
- 12억9000만원 중계동 아파트, 한 달 새 2억 넘게 뛰더니…
- 김구라, 재벌급 건보료 납부? "최상위급 440만원 내고 있어"
- "영탁막걸리 상표 떼라"…영탁, 막걸리 상표권 분쟁 승소
- 김혜수 "조인성과 로맨스? 없어서 더 좋아" [인터뷰+]
- 아이 가방에 녹음기 넣은 주호민…"역고소 당할 수도" [법알못]
- "2만원에 무제한으로 먹는다"…고물가에 되레 손님 몰린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