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EU “쿠데타 니제르에 원조 중단” 압박…아프리카 혼란 확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이 서아프리카 니제르에서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 세력에 원조를 중단하겠다고 압박하며 억류 중인 모하메드 바줌 대통령의 석방과 민주정권 복귀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현지 시각 29일 AP와 블룸버그 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호주를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장관은 브리즈번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바줌 대통령을 복권하고 민주질서를 회복하지 않을 경우 니제르에 대한 미국의 재정지원과 안보 협력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이 서아프리카 니제르에서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 세력에 원조를 중단하겠다고 압박하며 억류 중인 모하메드 바줌 대통령의 석방과 민주정권 복귀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현지 시각 29일 AP와 블룸버그 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호주를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장관은 브리즈번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바줌 대통령을 복권하고 민주질서를 회복하지 않을 경우 니제르에 대한 미국의 재정지원과 안보 협력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수억 달러에 이르는 니제르와의 경제·안보 파트너십은 지난 며칠간의 활동으로 중단된 민주적 통치와 헌법 질서가 계속되느냐에 달렸다”며 “따라서 그러한 지원은 위험에 처해 있으며 이는 그들(군부 세력)이 즉시 되돌려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앞서 이날 바줌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말했지만,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는 “니제르 국민들의 삶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우리의 중요한 지원이 명백히 위험에 처해 있다”면서 “니제르의 헌법 질서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책임이 있는 이들에게 가능한 한 명확하게 이러한 뜻을 전달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니제르 군부의 행동을 쿠데타로 지칭하지는 않았습니다.
미국이 이를 쿠데타로 규정할 경우 니제르는 수백만 달러의 군사 원조와 지원을 잃을 수 있다고 AP는 전했습니다.
앞서 이날 EU는 니제르 군부정권은 쿠데타로 집권해 정당성이 없다면서 니제르에 대한 재정 지원과 안보 협력을 중단할 방침을 밝히고, 바줌 대통령의 석방과 헌법 질서 회복을 촉구했습니다.
호세프 보렐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성명에서 “EU는 니제르의 쿠데타 군정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예산 지원을 즉각 중단하며 안보 분야의 모든 협력 조치도 무기한 중단된다”고 말했습니다.
프랑스 외교부도 바줌 대통령의 즉각적인 복권을 촉구하며 니제르를 위한 모든 개발·예산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니제르는 연간 20억 달러(약 2조 5천억 원)에 가까운 공적 개발 원조를 받는 세계에서 최빈국 중 하나입니다. 1960년까지 니제르를 식민 지배했던 프랑스는 2021년 기준으로 9천700만 유로(약 1천366억 원)를 니제르에 지원했습니다.
하지만 서방의 이런 압박이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 세력에 통할지는 미지수입니다.
니제르는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 등의 활동으로 치안이 극도로 불안정한 사헬지역에서 보루 역할을 해온 전략적 요충지인 만큼 서방이 손을 떼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은 1억 1천만 달러를 들여 니제르의 수도 니아메와 북부 도시 아가데스에 테러단체 토벌을 위한 드론 기지를 운영하며 니제르군을 훈련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미군은 최소 1천100명이 니제르에 주둔 중입니다.
최근 수년간 서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이 급감한 프랑스도 마지막 보루인 니제르에 병력 1천500명을 뒀습니다.
EU는 니제르를 아프리카에서 오는 불법 이민자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파트너로 삼아 왔다는 점에서 역시 관계를 단절하기 어렵습니다.
아프리카에서 갈수록 커지는 러시아의 존재감도 변수입니다. 러시아는 최근 수년간 민간용병기업 바그너그룹을 앞세워 쿠데타나 부정선거로 집권한 독재정권을 비호하면서 광물 개발 등 이권을 챙기는 식으로 아프리카 내 영향력을 확대해왔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지진 1시간 지나 ‘전남 장수’ 재난문자 보낸 행안부
- “덕분에 힘내서 출근했어요”…1,690건 칭찬받은 지하철 ‘감성 방송’ [주말엔]
- [단독] 대낮 강남서 성매매한 판사…한 달간 징계 절차도 없이 ‘재판 참여’
- 어제보다 기온 더 올라 ‘서울·대구 35도’…온열질환 유의 [7시 날씨]
- “이 대학 졸업자 연봉은요…” 알려주는 나라가 있다? [세계엔]
- 다음 달 베일 벗는 네이버 초거대 AI…‘점잖게’ 패권 잡을까? [주말엔]
- 가격 영토, 진짜 ‘갑’은?…그때는 신라면, 지금은 햇반 [주말엔]
- ‘인도 위 불법 주·정차’ 주민이 직접 신고
- 남극에 내리는 비…지구가 위험하다 [주말엔 전문K]
- 뒷목 잡은 운전자…충돌 직후 MRI·CT 찍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