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Chat답] 교권 추락 논란에 '체벌 부활' 솔솔…챗GPT "나는 반대"
초등 교사 99.2% "교권 침해 당한 적 있어"
일각서 '체벌 부활'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기도
오은영 "훈육하지 말라는 것 아냐…폭력성 띤 체벌 반대"
'99.2%'. 교권 침해를 당한 적 있다고 응답한 초등학교 교사의 비율입니다.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전국초등교사노동조합이 초등교사 2,3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20명을 제외한 2,370명이 위와 같이 답했습니다.
교권침해 유형으로는 '학부모의 악성 민원'이 49.0%로 가장 많았고, '정당한 생활지도에 대한 불응·무시·반항'(44.3%), '학부모의 폭언·폭행'(40.6%), '학생의 폭언·폭행'(34.6%)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응답자가 복수 항목을 고를 수 있도록 했습니다.
교권침해 사례 접수에는 나흘 만에 교사 2천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접수 내용에는 학부모의 악성 민원과 폭언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결혼 계획 있으면 수업에 지장 없도록 방학 때 해라", "아이 기분이 상했으니 아동 학대로 고소하겠다" 등의 갑질 사례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온 것입니다.
최근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교내에서 숨지고, 양천구에서도 초등학교 교사가 6학년 학생에게 무차별적으로 폭행당하며 '교권 추락'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초구청장 출신인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26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서초구청장 임기 동안) 학교를 많이 방문했다"며 실태를 알리기도 했습니다.
조 의원은 "학부모들이 아동학대로 소송을 많이 한다"며 "그게 나중에 기각이 되고 정말 기소되는 건 1.6%에 불과한데, 그 과정이 교사들이나 학교를 피폐하게 한다"고 밝혔습니다.
논란의 불씨는 현재 채널A 육아 솔루션 프로그램 '금쪽같은 내 새끼'에 출연 중인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도 튀었습니다. 오 박사가 강조해온 '체벌 금지' 훈육법이 학부모의 악성 민원을 부추겨 교권 추락으로 이어졌다는 겁니다.
일각에서는 교권 회복 방안으로 '체벌 부활'을 제시하기 시작했습니다. 정말 학생 체벌이 교권 추락에 대한 해결 방안이 될 수 있을까요?
이에 MBN은 대화형 인공지능(AI)서비스 챗GPT에 교권 회복을 위해 체벌이 부활해야 되는지 물었습니다.
챗GPT는 "권장되지 않는 접근 방법"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학생들에게 물리적, 정서적인 고통을 초래할 수 있으며 발전과 성장에 오히려 부정적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교권 회복을 위한 방법들로 '성실한 소통과 존중의 태도', '교내 적절한 교육적 규범과 행동 지침 정립', '지속적인 교육 정책 검토 및 개선' 등을 들었습니다.
오 박사 역시 26일 공개된 연예매체 텐아시아와의 인터뷰에서 "교권이 추락한 것은 아이들을 때리지 않기 때문이라는 일부의 논리에 마음이 아프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최근 일어난 안타까운 사건(서초구 초등 교사 사망사건)에 저 역시 마음이 아프다"며 조심스레 말문을 연 오 박사는 훈육과 폭력을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훈육은 옳고 그름을 가르치고, 하지 말아야 할 것과 참는 것을 가르치고, 그걸 통해 자기 조절 능력을 배우게 하는 것"이라며 "훈육하지 말라는 게 아니라 때리지 말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폭력성을 띤 체벌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강조한 것입니다.
챗GPT와 오은영 박사 모두가 꼽은 해결 방안은 '상호 간의 이해와 존중', 그리고 교사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의 마련'입니다.
교육부는 이번 사태로 촉발된 '교권 침해'에 대해 제도 마련 계획을 밝혔습니다. 교사의 생활지도 범위를 규정한 가이드라인(고시)안을 다음 달까지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인권조례 개정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학부모들의 악성 민원으로부터 교원을 보호하기 위해 시도교육청과 함께 민원 응대 매뉴얼을 마련할 계획이며, 교사가 개인 전화로 민원 요구를 받지 않도록 민원창구 체계 도입도 검토 중임을 밝혔습니다.
당정 역시 학생인권조례 조정이 "체벌 부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태규 국회 교육위원회 여당 간사는 "이미 체벌이라는 것을 할 수 없다는 것은 오래전 합의된 사항 아니냐"며 "심각한 교권침해를 어떻게 제재할 것인가를 교육적 차원에서 논의하는 것이지 체벌 부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곪을 대로 곪다가 터졌다"는 교사들의 목소리가 들리는 만큼, 더 큰 슬픔을 겪지 않기 위해 많은 논의를 통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정다빈 디지털뉴스 기자 chung.dabin@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세무조사 막아주고 뒷돈' 윤우진 전 용산세무서장 징역 10개월
- [속보] '강남 납치살해' 이경우·황대한 무기징역 선고
- 계속되는 연예계 마약 스캔들…이선균 이어 또 유명 연예인 추가 입건
- ″섬이라도 마약 가능해″…5년새 제주 마약사범 급증
- 30억 이상 자산가가 '저소득층'?···의료비 최대 연 982만 환급받아
- 남현희의 15세 연하 예비 신랑, 알고 보니 '여자'?…사기 전과까지 '충격'
- 예뻐지려 '이 주사' 맞았다가…″죽을 수도 있겠다 생각″ 무슨 일?
- [인터넷 와글와글] '기생충 아저씨' 이선균 마약에 외신도 주목했다
- 유인촌 ″내 친구 안성기, 더 건강해져서 스크린에서 볼 수 있길″
- 이상민, 이태원 참사 1주기에 ″고인 명예 회복에 최선″